경기침체에 亞 ‘울트라 프라임’ 주택 열풍

입력 2011-09-21 09: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뭄바이·싱가포르 초고가 주택 가격 5년간 140% 폭등...선진국은 40% 성장 그쳐

▲뭄바이와 싱가포르의 초고가 주택 가치가 지난 5년간 약 140% 급등하는 등 아시아 부자들의 초고가 주택 구입 열풍이 불고 있다. 사진은 싱가포르의 한 초고가 주택. 블룸버그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속에 아시아 지역의 ‘울트라 프라임’ 주택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울트라 프라임 주택의 가격은 인도 뭄바이에서 지난 5년간 138%, 싱가포르는 144% 각각 폭등했다고 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부동산 중개업체 사빌스를 인용해 보도했다.

같은 기간 런던과 뉴욕의 울트라 프라임 주택 가격 상승폭은 40% 수준에 그쳤다.

전세계적으로 가격 상승폭은 65% 올랐다.

울트라 프라임 주택은 가격이 최소 1500만달러(약 170억원)가 넘는 초고가 주택을 말한다.

그 동안 울트라 프라임 주택시장은 서구 선진국 슈퍼리치들이 주도했으나 최근에는 아시아 부자들이 이끌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사빌스의 설문조사에서 홍콩 억만장자들은 주택 구입에 ㎡당 평균 1만달러의 비용을 들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영국 런던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이다.

욜랜드 바네스 사빌스 주택리서치 부문 대표는 “전세계 억만장자 중 많은 수가 뉴욕이나 런던이 아니라 중국에서 생겨나고 있다”면서 “이는 구매 패턴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 억만장자들이 유럽이나 미국의 부동산을 구매하는 것은 많은 제약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과정이 수월한 홍콩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경제지 포브스에 따르면 지난해 재산이 10억달러가 넘는 전세계 억만장자 1210명 가운데 18%에 이르는 213명이 중화권 출신이다.

213명 가운데 중국 본토가 54%로 가장 많았고 홍콩이 16%, 싱가포르 등 동남아가 13%, 대만이 13%를 각각 차지했다.

인도 억만장자 수도 55명에 달했다.

그러나 런던과 파리, 뉴욕 등의 울트라 프라임 주택에 대한 해외 부자들의 관심도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전문가들은 이들 도시가 정치적, 경제적으로 안정된 환경과 더불어 교육 시스템이 좋은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0: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85,000
    • -0.98%
    • 이더리움
    • 5,230,000
    • -1.69%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31%
    • 리플
    • 728
    • +0%
    • 솔라나
    • 233,400
    • +0.21%
    • 에이다
    • 627
    • -1.42%
    • 이오스
    • 1,126
    • +0.36%
    • 트론
    • 155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400
    • -0.23%
    • 체인링크
    • 26,080
    • +2.44%
    • 샌드박스
    • 619
    • -0.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