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싱크탱크 리포트] ‘주식회사 일본’ 엑소더스 득일까, 실일까

입력 2011-09-21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日기업, 리스크 분산 위해 해외 진출 활발해외 진출에 따른 득실 꼼꼼히 계산해봐야

가속화하고 있는 ‘주식회사 일본’의 본토 엑소더스는 어떤 결과로 이어질까.

동일본 대지진으로 일본 기업의 해외 이탈이 가속화하면서 산업 공동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업들의 해외 직접투자가 증가하면서 국내 생산여건이 부실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즈호종합연구소(MRI)는 해외 진출에 앞서 기업들은 그에 따른 득실을 따져봐야 한다며 산업 공동화를 우려하기엔 아직 이르다고 최근 지적했다.

현재 일본 산업계에서는 대지진의 피해를 입은 업체들이 동남아시아 등지로 생산 거점을 분산시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경제산업성 조사에서는 대형 제조업체의 70% 가량이 대지진의 영향으로 서플라이 체인(공급망)의 해외 이전이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기업들은 인건비 감축과 리스크 분산, 싼 값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등 해외 이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많다고 보고 있다.

이는 대지진 발생 전부터 엔고를 비롯해 높은 법인세율·높은 인건비·환경 규제·교역조건 악화 등 ‘오중고’에 시달려온 기업들에 전력공급 제약이라는 악재까지 보태짐에 따라 당연하다는 시각이다.

MRI는 그러나 기업이 해외 진출을 검토할 때 비용 문제에만 초점을 맞춰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중국의 인건비 급등 현상처럼 입지 조건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MRI는 특히 현장의 조직적인 실행력, 즉 현장력과 고품질의 자재 조달 능력, 품질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여건 등도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부 기업들은 해외 진출의 득실을 따져 ‘오중고’를 감수하면서까지 자국 내 생산을 고수하는 경우도 많다고 MRI는 지적했다.

대표적으로 철강업은 초기 투자 비용 부담이 큰데다 고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선 일본산 원자재 사용이 불가피해 일본 생산을 유지하고 있다.

MRI는 또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대지진에 대비해 거액의 비용을 들여 해외행을 선택하는 것도 기업 행동으로서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번 대지진 발생 시 대부분의 업종에서 피해 복구가 오래 걸리지 않았던만큼 현재 가동 체제를 문제로만 볼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MRI는 이 같은 이유로 인해 기업들의 해외 진출이 한계에 달해 공동화 사태로까지 발전할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지진 문제가 아니더라도 기업들을 해외로 유인하는 요소는 다분하다.

일본 내수는 침체되는 가운데 신흥국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은 계속 확대하기 때문에 자칫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 일본 국내외의 기술력과 인재력의 차이도 꾸준히 좁혀지고 있는 데다 일본의 전력문제도 기업들이 해외 진출을 고려하는 이유다.

MRI는 일본이 산업 공동화 사태를 피하려면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난 3월 대지진을 통해 일본의 서플라이 체인 두절이 세계의 생산 및 판매 활동에 영향을 미쳤듯이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부품은 공급처와 생산처를 변경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MRI는 아울러 중장기적인 에너지 정책을 통해 전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일주일만 팝니다"…유병자보험 출시 행렬에 '떴다방' 영업 재개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891,000
    • -1.08%
    • 이더리움
    • 5,235,000
    • -1.95%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92%
    • 리플
    • 729
    • -0.41%
    • 솔라나
    • 233,600
    • -0.26%
    • 에이다
    • 629
    • -0.94%
    • 이오스
    • 1,122
    • -0.09%
    • 트론
    • 155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200
    • -0.98%
    • 체인링크
    • 25,820
    • +0.74%
    • 샌드박스
    • 619
    • -0.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