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 그린에너지 사업 글로벌 마케팅 활발

입력 2011-06-08 10: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중공업이 지난 5월 초 이태리에서 참가한 ‘솔라엑스포’ 태양광 전시회.

현대중공업이 다양한 그린에너지 국제 전시회에 활발히 참가하며 글로벌 마케팅을 적극 펼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8일부터 10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태양광 전시회인 ‘인터솔라 2011’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는 2200개 업체가 참가하고 7만5000명 이상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현대중공업은 폴리실리콘과 잉곳, 웨이퍼, 태양전지, 모듈, 태양광 인버터 등 태양광 일관생산 전품목을 비롯해 올해 양산에 들어갈 국내 최고 19.2% 고효율 태양전지 및 발전단지 대형화에 맞춰 개발한 500kW급 대형 인버터도 최초로 공개할 예정이다.

현대중공업이 올해 영국, 일본, 이태리 등 세계 각국에서 참가한 태양광, 풍력 전시회만 10여 차례. 현대중공업 태양광, 풍력 사업 매출의 95% 이상이 해외 수출이 차지하고 있어 국제 전시회 참가를 통한 해외 마케팅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지난 3월 호주에서 진행된 ‘ESEA’에 참가해 5MW 규모의 모듈 계약을 체결하는 등 보통 전시회 기간 동안 해외 바이어들과 활발한 수주 상담이 이뤄지며, 글로벌 시장 및 기술 동향에 대한 각종 정보를 공유하는 기회도 가질 수 있다.

풍력 분야 전시회 마케팅도 활발하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4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중국 최대 풍력전시회(CWEE 2011)의 메인 스폰서로 참여, 업계 최대 규모로 부스를 설치하고 육해상 풍력발전기 신제품을 선보였다. 지난 5월에도 미국 애너하임에서 열린 ‘윈드파워 2011’에서 활발한 마케팅 활동을 벌였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해외 전시회 참여는 단기간 많은 고객들과 직접 대면하며 현대중공업의 브랜드와 기술력을 알리는 데 매우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이라며 “올해 남은 기간에도 다양한 국제 전시회에 참여해 적극 수주 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오는 9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리는 태양광 전시회 ‘EU PVSEC’와 10월 미국 댈러스 ‘솔라파워 2011’을 포함해 중국 ‘China Wind Power’ 풍력 전시회 등에도 참가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성심당 대전역점’이 없어진다고?…빵 사던 환승객들 ‘절망’ [해시태그]
  • 경찰, 김호중 방문한 고급 유흥주점 새벽 압수수색
  • 다꾸? 이젠 백꾸·신꾸까지…유행 넘어선 '꾸밈의 미학' [솔드아웃]
  • "깜빡했어요" 안 통한다…20일부터 병원·약국 갈 땐 '이것' 꼭 챙겨야 [이슈크래커]
  • 부동산PF 구조조정 시계 빨라진다…신평사 3사 "정부 대책 정상화 기여"
  • "전쟁 터진 수준" 1도 오를 때마다 GDP 12% 증발
  • 유니클로 가방은 어떻게 ‘밀레니얼 버킨백’으로 급부상했나
  • AI 챗봇과 연애한다...“가끔 인공지능이란 사실도 잊어”
  • 오늘의 상승종목

  • 05.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895,000
    • +0.67%
    • 이더리움
    • 4,328,000
    • +1.24%
    • 비트코인 캐시
    • 660,000
    • +2.33%
    • 리플
    • 724
    • +0.14%
    • 솔라나
    • 239,500
    • +3.14%
    • 에이다
    • 671
    • +0.75%
    • 이오스
    • 1,130
    • -0.88%
    • 트론
    • 172
    • -0.58%
    • 스텔라루멘
    • 150
    • -0.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050
    • +2.51%
    • 체인링크
    • 22,500
    • +0.45%
    • 샌드박스
    • 617
    • -0.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