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이달 기준금리 어떻게

입력 2011-05-09 11:09 수정 2011-05-09 11: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상" 공공요금發 물가상승 영향으로 불가피

-"동결" 가계부채 고려 '숨 고르기' 설득력 있어

이번주 13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금융권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11월 이후 유지해 온 징검다리식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갈지 아니면 가계부채 등을 고려해 ‘숨 고르기’에 들어갈 지 주목되기 때문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이 지난해 11월 이후 한 달씩 건너뛰면서 징검다리식 금리 인상을 해오며 금리 정상화 의지를 밝혀온 점을 고려하면 이번 달에도 0.25%포인트의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다.

특히 지난 3월 4.7%까지 치솟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월 이후 다소 진정되는 분위기이지만 여전히 4%대로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치(3±1%)의 상단을 벗어나 있다는 것도 금리인상의 가능성을 점치게 하고 있다.

크레디트스위스(CS)는 “이번 달 금통위 결정은 최근 물가 상승세 및 경제성장세에 대한 한은의 판단을 반영할 것으로 예상돼 특히 중요하다”면서 “지난달 물가상승률이 전월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기 때문에 한은의 금리정상화 기조는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정부가 도시가스요금 인상을 결정하는 등 공공요금발 물가 상승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전기 등 공공요금과 식료품 가격 등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올려 통화당국의 시그널을 보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부담 문제 등을 감안하면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대출 이자를 연체한 적이 있는 가구는 전체의 13.0%에 달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8개월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신용대출 금리도 속속 인상되면서 가계는 물가고와 이자부담,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며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어려울 것 같다”고 전망했다.

또 유럽중앙은행(ECB)이 경기 둔화를 우려해 지난주 금리를 동결하는 등 대외여건도 변수다. 이재승 KB투자증권 연구원은 “ECB가 물가상승압력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등 세계경기의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모습을 보이는 점 등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 탕탕탕 후루루루루"…'마라탕후루' 챌린지 인기
  • “뚱뚱하면 빨리 죽어”…각종 질병 원인 되는 ‘비만’
  • "24일 서울역서 칼부림" 협박글에…경찰 추적 중
  • '음주 뺑소니' 김호중 구속될까…오늘 영장실질심사, 정오께 출석
  • 미국 증권위, 비트코인 이어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승인
  • 단독 우리금융, 여성 리더 육성 프로그램 2년 만에 되살린다
  • 지난해 가장 잘 팔린 아이스크림은?…매출액 1위 공개 [그래픽 스토리]
  • 금사과도, 무더위도, 항공기 비상착륙도…모두 '이상기후' 영향이라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5.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89,000
    • -0.69%
    • 이더리움
    • 5,301,000
    • +2.87%
    • 비트코인 캐시
    • 687,000
    • -0.15%
    • 리플
    • 739
    • +1.93%
    • 솔라나
    • 246,100
    • +0.82%
    • 에이다
    • 649
    • -2.55%
    • 이오스
    • 1,146
    • -1.72%
    • 트론
    • 161
    • -3.01%
    • 스텔라루멘
    • 153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800
    • -0.94%
    • 체인링크
    • 23,190
    • +2.75%
    • 샌드박스
    • 618
    • -1.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