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구제역 마지막 수단 ‘예방백신’ 접종키로

입력 2010-12-22 15:50 수정 2010-12-22 15: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가 결국 구제역 사태를 진화하기 위해 예방백신 접종 카드를 꺼내 들었다.

정부는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청정지역인 강원지역으로까지 확산되자 구제역 대책의 ‘마지막 수단’인 예방백신을 접종키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그러나 예방백신의 접종 범위 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이날 오후 4시 농림수산식품부가 주관하는 긴급 가축방역협의회에서 구체적인 범위가 정해질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정부가 예방백신 접종이란 수단을 선택한 것은 국내 최고의 청정지역인 강원 평창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했을 뿐 아니라 인근 화천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하는 등 전국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춘천에 이어 원주에서도 이날 잇따라 의심신고가 접수된 것도 백신접종 카드 사용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백신 접종은 지난 2000년 구제역 당시 단 한 차례 사용한 바 있다.

하지만 구제역 예방백신 접종은 중단 후 1년이 지나야 구제역 청정국 지위가 회복된다.

백신의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구제역 피해도 계속될 수밖에 없다. 반면 살처분·매몰 방식은 마지막 구제역 발생 후 3개월 동안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으면 청정국 지위가 회복된다.

게다가 예방백신 접종은 비용도 상당히 많이 들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는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실제로 가축 10만마리를 기준으로 백신을 처방할 경우 무려 6억원 가량의 비용이 든다.

예방백신 접종은 △구제역 진원지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내 지역을 접종하는 ‘링 백신’ △특정 지역 전체를 접종하는 ‘지역 백신’ △전국에 걸쳐 접종하는 ‘전국 백신’등 3단계로 나뉜다.

이날 현재 구제역은 의심신고 64건 중 안동·예천·영주·영양·파주·양주·연천·고양·가평·포천·평창·화천 등 13개 지역 44건이 구제역으로 판정됐다.

또 경북 일부 지역 한우농가에서 예방적 차원에서 살처분하는 과정에서도 구제역이 확인돼 전체 구제역은 3개 시·도 16개 지역에서 48건으로 늘었다.

춘천과 원주의 의심신고는 이르면 이날 저녁부터 결과가 나온다.

이번 구제역으로 지금까지 1289농가의 소·돼지·사슴·염소 등 22만4605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매몰돼 살처분 보상금만 2300억원을 넘어서는 등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오늘(18일) 의협 주도 병원 집단 휴진…휴진 병원 대상 불매운동 움직임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비트코인, ETF 매도세 지속에 지지부진…"자산운용사도 ETF 매수 주저"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10:3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922,000
    • -1.88%
    • 이더리움
    • 4,831,000
    • -5.11%
    • 비트코인 캐시
    • 568,000
    • -5.18%
    • 리플
    • 698
    • +1.45%
    • 솔라나
    • 192,900
    • -8.19%
    • 에이다
    • 545
    • -6.84%
    • 이오스
    • 817
    • -10.32%
    • 트론
    • 162
    • -2.41%
    • 스텔라루멘
    • 131
    • -5.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350
    • -8.25%
    • 체인링크
    • 19,530
    • -7.66%
    • 샌드박스
    • 453
    • -15.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