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시지가 상승률 전국 2위... '용인특례시' 최고 기록

입력 2025-04-30 14: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고가는 분당 현대백화점 부지...1㎡당 3004만원

(경기도)
(경기도)
경기도는 올해 1월 1일 기준 도내 488만 필지에 대한 개별공시지가를 30일 결정·공시했다.

올해 도의 개별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평균 2.93%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상승률(2.72%)을 웃도는 수치다. 서울(4.02%)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군별로는 개발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상승 폭을 나타냈다.

용인시 처인구는 반도체 산업단지 등 각종 개발사업의 영향으로 4.62%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오산시는 세교지구 1·2지구에 이은 3지구 개발사업 등으로 4.31%, 광명시는 광명뉴타운과 3기 신도시 조성의 영향으로 4.07% 상승했다.

반면 동두천시(0.69%), 연천군(0.90%), 양평군(1.34%) 등 일부 지역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개발 요인 부족으로 비교적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경기도 내에서 가장 높은 지가는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541번지(현대백화점 부지)로 1㎡당 3004만 원이다. 가장 낮은 지가는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 산267번지 임야로 1㎡당 553원이다.

개별공시지가는 △각종 조세 및 부담금 부과 기준 △기초생활보장 대상자 선정 △건강보험료 산정 등 복지 분야 △보상·경매·담보 등 부동산 평가 분야 등 60개 항목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도는 개별공시지가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도민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각 시군에서 토지소유자 및 이해관계인이 지가 산정에 참여한 감정평가사와 직접 상담할 수 있는 '감정평가사 민원상담제'를 운영한다. 이의신청 기간인 내달 29일까지 운영된다.

이의신청이 접수된 토지는 감정평가사의 재검증과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6월 26일 조정 공시될 예정이다.

공시된 개별공시지가는 각 시·군·구청 민원실,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누리집을 통해 열람할 수 있다. 내달 초부터는 경기부동산포털을 통해 지도 기반 확인도 가능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고용률 하락하는데 실업률은 상승⋯청년 고용난 심화
  • 톰형의 30년 세월 녹아있는 미션 임파서블…그 마지막 이야기 [시네마천국]
  • "곡성으로 만발한 장미 보러 가세요"…문학 고장 옥천서 열리는 지용제 [주말N축제]
  • 간접적으로 직업 체험 해볼까…현실감 있는 직업 체험 게임 5선 [딥인더게임]
  • '환불 불가' 헬스장 분쟁 급증...소비자원 "장기·고액 계약 주의"
  • 이번 주말, 한강서 스트레스 날릴까...행사 풍성
  • 직원들 피켓팅 들고 일어난다…네이버에 일어난 일
  • 치매 원인 ‘알츠하이머병’, 초기 관리가 관건[e건강~쏙]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619,000
    • +0.25%
    • 이더리움
    • 3,534,000
    • -3.28%
    • 비트코인 캐시
    • 564,500
    • +0.36%
    • 리플
    • 3,364
    • -1.12%
    • 솔라나
    • 239,700
    • -1.15%
    • 에이다
    • 1,087
    • -1.18%
    • 이오스
    • 1,161
    • -4.6%
    • 트론
    • 382
    • -1.8%
    • 스텔라루멘
    • 412
    • -1.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800
    • -2.59%
    • 체인링크
    • 21,930
    • -4.86%
    • 샌드박스
    • 439
    • -4.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