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자립도 높여 미‧중 갈등 경쟁력 갖추려는 듯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이 확정되고부터 의료제품 부문에서 미국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의 무역 전쟁에 대비해 자국의 취약성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준비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29일(현지시간) 평가했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은 올해 초 일부 국영 제약사에 의약품 및 원자재에 대한 미국 의존도를 줄일 방법을 연구하라는 지침을 전달했다. 핵심은 미국산 의료 제품의 대체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잠재적 디커플링에 대비했던 것으로 보인다.
NMPA는 트럼프 대통령의 1월 취임이 확정되자마자 이같은 지시를 내렸다. 최소 두 곳의 국영 제약사는 미국에서 수입하는 재고에 대한 조사도 끝낸 것으로 전해졌다. 대체 품목 리스트에는 의약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와 공급품부터 실험 장비와 시약 검사까지 포함됐다. 해당 제품들은 현지 또는 일본 등 다른 국가에서 조달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NMPA와 별개로 중국 국가보건위원회(NHC)는 몇몇 중국 대형병원에 미국산 수입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자국산 또는 다른 나라에서 생산된 제품으로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지 조사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대형병원은 자기공명영상(MRI) 및 초음파 기기 등 미국 GE헬스케어나 메드트로닉스가 생산하는 첨단의료장비 주요 구매자다.
관련 뉴스
의료기기 외에도 중국 병원들은 시약이나 약품 및 기타 의료 소모품을 미국 업체로부터 조달한다. 또한 임상 연구나 제조에 사용되는 항체, 배양 배지, 필러 및 기타 성분을 미국에서 공급받고 혈장과 알부민 등 혈액 제품도 미국에서 수입한다.
중국은 오래 전부터 의료제품 부문의 자립도를 강화하기 위해 수입 제품을 국내산으로 대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이나 필수 의료장비 등은 이미 중국에서 제조하고 있지만, 제약사들의 경우 대체품의 품질 저하 문제로 상당한 양을 미국산 제품에 의존해온 상황이다.
특히 중국 견제를 강조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산업 자립에 더욱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의 협상으로 무역 갈등을 해소하려 했던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와는 달리 트럼프 대통령의 145% 관세에 125% 관세로 맞대응하는 등 미국 외 시장으로 보다 빨리 눈을 돌리는 행보를 보이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다만 의약품의 경우 안전성과 품질 문제가 중요하기 때문에 미국산 제품을 대체하기가 쉽지는 않을 거란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