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경선 후보가 30일 감세정책을 바탕으로 중산층의 세금 부담을 덜어주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 캠프는 이날 “물가상승으로 실질임금이 줄어드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물가상승률이 반영되지 못한 과표와 공제액으로 지난해 국세 대비 근로소득세 비중이 18%가 넘을 정도로 K-직장인의 삶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선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중산층과 직결되는 종합소득세에 물가연동제를 도입하고 기본공제액을 현행 15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인상한다. 70세 이상 경로우대자 공제액은 현행 10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장애인 공제액은 현행 20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상향해 중산층의 실질적 세금 부담을 줄인다.
은퇴자의 노후생활 보장을 위해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금액도 2000만 원에서 3000만 원으로 높인다. 자녀 수와 무관하게 지원하던 6세 이하 자녀 월 20만 원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는 자녀 수에 비례해 자녀 1인당 20만 원으로 한도를 확대한다. 2000cc 이하의 승용차, 전기차의 개별소비세도 과세 대상에서 제외한다.
관련 뉴스
이 밖에 직장인 성과급은 세액 감면을 추진해 보상 효과를 극대화하고 상속세 최고세율(50%)을 하향하는 등의 내용도 포함됐다.
캠프 관계자는 “이번 감세 공약은 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중산층에게 꼭 필요한 정책”이라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세금을 정상화함으로써 중산층이 더 두터워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