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1500원땐 물가 0.24%p↑…1400원땐 0.44%p↓
1분기 물가에 환율 0.47%p 기여…대내 0.27·대외 0.20

최근 강(强)달러 흐름으로 인한 원·달러 환율 상승이 단기적으로 국내 소비자물가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지만 지속성과 파급력은 국내 요인보다 제한적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최근 고환율 기류에 대외 요인이 큰 만큼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오르더라도 물가안정목표(2%)를 크게 상회하지 않을 것으로 봤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9일 KDI 현안분석 '최근의 환율 변동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서 "강달러 요인에 따른 원·달러 환율 상승은 시간이 지나며 수입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축소되는 반면 국내 요인에 따른 환율 상승은 그 영향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고 밝혔다.
KDI는 지난해 4분기 이후 환율 급등 배경이 된 미국 통상정책 불확실성과 정국 불안 등 대내외 요인에 따른 환율 상승을 각각 분석했다. 먼저 미국 통화정책 변화나 무역분쟁 심화 등으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달러로 결제되는 수입품 가격에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수입금액 상위 50개국으로부터 수입 83%가 달러화로 결제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수입품의 달러 기준 가격은 하향 조정되고, 달러화 요인 영향도 점차 축소된다는 것이 KDI의 설명이다.
관련 뉴스
정국 불안 등 국내 요인으로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교역국 통화 대비 원화 가치 전반에 영향을 준다. 그 영향이 수입품 가격에 점진적이고 광범위하게 파급돼 대외 요인보다 포괄적인 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한다고 봤다.
KDI의 관련 분석 결과 원·달러 환율이 강달러 요인으로 1%포인트(p) 오를 경우 미국 외 국가로부터 수입한 상품 가격은 동분기 0.49%p 상승하지만, 1년 누적 상승 폭은 0.25%p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국내 요인으로 환율이 1%p 오를 경우, 수입품 가격은 동분기 0.58%p 상승 후 1년 누적으로는 0.68%p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창석 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최근 강달러에 따른 환율 상승이 단기적으로는 수입품 가격을 상승시켜 소비자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지만 그 지속성과 파급력은 국내 요인보다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미 달러화 요인과 국내 요인으로 원·달러 환율이 1%p 상승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각각 동분기에 0.04%p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년 누적 기준으로는 미 달러화 요인에 따른 환율 1%p 상승이 소비자물가를 약 0.07%p 상승시켰지만 국내 요인으로 인한 동일한 환율 상승은 소비자물가를 약 0.13%p 올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토대로 KDI는 올해 1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2.1%)에 환율 변동이 0.47%p 영향을 미쳤고, 이 중 미 달러화 요인이 물가에 0.20%p, 국내 요인이 0.27%p 기여했다고 봤다.
향후 환율 변동에 따른 물가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달러화 요인의 영향이 국내 요인보다 비교적 컸으며, 원·달러 환율이 올해 1분기(1452.7원) 수준을 유지할 경우 환율발 물가 상방 압력은 점진적으로 해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상승하면 소비자물가는 올해 1분기 대비 최대 0.24%p까지 추가 상승하는 반면, 1400원까지 하락할 경우 동일 기준으로 최대 0.44%p 줄었다.
마 연구위원은 "환율 변화 자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는 그 원인에 따른 물가상승률 변동 폭과 지속성을 감안해 대응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달러화 요인으로 환율이 오를 경우 그 영향이 단기에 그칠 수 있지만 국내 요인 영향이 확대될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수 있어 당국이 환율 추이와 변동 배경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적절한 거시정책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