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전략] 국고채 30년물 입찰 경계심리로 약세 마감…GDP 부진 여파 현재 금리 정당화

입력 2025-04-29 08: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9일 채권전문가들은 국내 채권시장이 국고채 30년물 입찰을 앞둔 경계 심리로 약세 마감했다고 분석했다. 또 한국 1분기 국내총생산(GDP)의 부진 여파로 기준금리 2.0% 수준을 반영하는 현재 금리 수준이 정당화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했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 = 국내 채권시장은 약세 마감했다. 전일 미·중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이 높아진 가운데 미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이 하향조정된 점 반영하며 강세 출발했다. 3년 금리는 장내에서 2.3%를 하향 돌파하기도 했다. 장 중 특별한 재료 부재했으며, 외국인 국채선물 수급에 따라 등락하는 흐름. 장 후반 무렵 국고채 30년물 입찰 앞둔 경계로 약세 전환했다.

미국 채권시장은 강세 마감했다. 금주 미 주요 경제지표들이 연이어 발표되는 만큼, 경계감이 커지며 위험 선호심리가 사그라지는 모습이다. 댈러스 연은 제조업 지수, 약 5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하며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돈 점도 영향이었다. 오후 중에 미 재무부 2분기 차입 예상치 발표된 뒤 미 국채 전 구간 금리가 낙폭을 확대했다. 실질적 차입 예상치가 종전 대비 축소된 영향이다.

이날 미국 3월 JOLTs 구인건수, 4월 CB 소비자심리지수를 발표할 예정이다. 일본은 쇼와의 날로 휴장이다.

◇유영상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 지난주 국고채 3/10년물 금리는 전주대비 각각 4.5bp, 3.7bp 하락했다. 국고 3/10년 스프레드는 26.5bp에서 27.3bp로 소폭 확대됐다. 레벨 부담에 주춤했던 국채 금리는 한국 1분기 GDP 역성장을 확인한 후 재차 강세 흐름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문제에 있어 이전대비 완화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미 국채 금리가 하락한 점도 국채 금리 하락에 기여했다.

부진했던 한국 1분기 GDP 여파로, 기준금리 2.0% 수준을 반영하고 있는 현재의 금리 수준이 정당화되고 있다. 6월 조기 대선 전후로 본격화될 추경 이슈를 제외하면 당장 국고채 금리를 상승시킬 만한 재료도 부재한 만큼, 5월 중 국고채 금리는 현 수준에서 소폭의 등락 정도의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 그러나 이미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로 제시한 가운데, 5월 한은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정부 12조 원 추경 및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후퇴 등으로 IMF 대비 소폭 상향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월렛, 新 상품권 출원⋯뉴 디지털 금융 플랫폼 대전환 예고
  • 상대방 송금계좌가 의심된다면…‘사기 의심 계좌 조회 서비스’로 확인해보자 [경제한줌]
  •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0.8% 하향 조정…“건설경기 부진 및 소비 회복 더뎌”
  • 단독 1세대 수제맥주 신화 쓴 세븐브로이맥주, 기업회생절차 신청
  • "투표지 SNS에 올리면 벌금"…21대 대선 사전투표 유의사항은? [데이터클립]
  • 대기업 몰리자 ‘20억’ 신고가⋯훈풍 부는 마곡 집값
  • 이동건과 강남 데이트 목격담…강해림은 누구?
  • SKT, 영업 재개 시점은?⋯유상임 "유심 교체 전부 돼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343,000
    • -0.73%
    • 이더리움
    • 3,800,000
    • +3.63%
    • 비트코인 캐시
    • 588,500
    • +1.38%
    • 리플
    • 3,182
    • -0.28%
    • 솔라나
    • 240,300
    • -0.87%
    • 에이다
    • 1,048
    • +0.48%
    • 이오스
    • 1,033
    • -2.82%
    • 트론
    • 383
    • -0.52%
    • 스텔라루멘
    • 39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950
    • -0.29%
    • 체인링크
    • 21,950
    • -0.45%
    • 샌드박스
    • 428
    • +0.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