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4일 MBK파트너스(이하 MBK)와 홈플러스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한 점에 대해 구체적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본원에서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을 열고 "방대한 자료 분석 등을 통해 조사한 결과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하여 검찰에 이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금감원은 앞서 '홈플러스 사태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꾸려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 사전 인지 여부와 MBK에 대한 검사를 진행해왔다.
김병주 MBK 회장에 대해서는 홈플러스 경영에 실패하고도 납품 업체, 임대인, 채권자 등의 희생을 강요하는 반면 자기 책임은 회피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AI 추천 뉴스
이 원장은 "회사가 위기에 빠졌을 때 경영 정상화를 위한 책임을 다르게 취급한다는 것은 오히려 특혜를 주는 것으로 생각한다"며 "MBK와 홈플러스 측이 회생 신청 이후 보여준 모습을 보면 채무자 및 그 대주주와 채권단 간의 주객이 전도되었다는 점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채무자인 홈플러스 대주주 측은 추가 출자 또는 주주 우선 책임 원칙에 따른 주식 소각 등 경영 실패 책임이 있는 자의 자구책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며 "시간을 끌며 회생 계획을 강요하는 식의 접근방법보다 이해관계자들의 진심 어린 이해와 양보를 구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MBK 측에서는 저희 당국 쪽에다 다수 거래처들이 유지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협조를 구해달라는 식의 요청까지 하는 이런 상황"이라며 "당국은 회생절차에 있어서는 이런 협조와 관련된 형태의 요청을 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조금 매우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사와 검사는 원칙에 따라 독자적으로 해야 될 부분이지만, 이는 상대방의 신뢰성 또는 진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는 저희가 쓰고 있다"고 경고했다.
홈플러스 TF는 다음 달 말까지는 지속 가동되며 향후 검찰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MBK에 대한 검사, 홈플러스 회계 감리 등을 통해 제기된 불법 의혹 등을 들여다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