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온체인 지표 제공하는 ‘블록체인 분석’ 포함
“온체인 데이터 지표 발전시켜 정보 비대칭 해소”
두나무가 UBCI를 ‘업비트 데이터 랩’으로 개편해 가상자산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을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업비트 데이터 랩’은 △디지털 자산 지수 △섹터 △인사이트 △블록체인 분석(Beta) 등 총 4개 카테고리를 선보일 예정이다.
먼저 ‘디지털 자산 지수’ 카테고리는 기존 UBCI에 분석을 강화해 다양한 지수의 정보를 다차원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전체 지수 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비교하고 지수별 수익률, 리스크, 편입 자산 등 다양한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어 투자자들의 투자 방향성 설정에 참고할 수 있다.
‘섹터’ 카테고리에서는 가상자산 시장을 산업과 업종 차원에서 면밀히 분석하여 도출된 섹터 분류를 바탕으로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는 지표들을 제공한다. 특히 이번 리뉴얼을 통해 주식시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히트맵이 추가됐고, 섹터 지수별 비교 탭에서는 섹터 수익률과 섹터 내 움직임이 두드러지는 자산을 볼 수 있다.
관련 뉴스
‘인사이트’ 에서는 △공포 탐욕 지수 △비트코인 도미넌스 등과 함께 글로벌 시세와 차이를 나타내는 △업비트 프리미엄 등 시장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 데이터를 제공한다.
마지막 ‘블록체인 분석’ 카테고리는 온체인 정보를 분석해 MVRV 비율을 포함한 다양한 지표를 제공한다.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의 100여 종의 가상자산 온체인 데이터를 제공 중으로, 향후 비트코인을 포함한 주요 네트워크의 데이터도 추가될 예정이다.
김대현 두나무 최고 데이터 책임자(CDO)는 “가상자산 투자자는 가격과 거래대금뿐만 아니라 다양한 중요 정보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업비트 데이터랩은 지수, 섹터, 투자지표, 온체인 분석을 제공해 투자자들이 데이터 기반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블록체인 분석은 가상자상의 펀더멘탈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마치 기업의 매출액처럼 가상자산 투자자라면 유심히 살펴봐야 하는 정보”라며 “업비트는 앞으로도 디지털 자산 지수와 온체인 데이터 지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시장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정보 비대칭을 해소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