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성 없지만 제도 연계로 확대 유도
16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 정책을 담당하는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이날 차량용 반도체의 현지 조달 비율을 20~25%까지 끌어올릴 것을 요청했다.
대상에는 전기차 대기업 비야디(BYD)를 포함해 국유 대기업인 상하이자동차그룹, 둥펑자동차그룹, 광저우자동차그룹, 중국 제일자동차그룹과 산하 기업 등이 포함됐다.
중국 정부는 휘발유차에서 전기차(EV)로의 전환을 발판으로 ‘자동차 강국’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차량용 반도체의 현지 조달 비율은 10% 정도에 불과하다.
해당 요청은 강제성이 없지만 정부가 자동차 제조업체에 의무적으로 일정 비율 이상의 전기차 비율을 요구하는 제도 등과 연계해 자국산 반도체를 확대하도록 유도한다. 20~25% 목표는 반도체 조달량과 조달 금액 모두를 포함한 기준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2025년 목표는 과도기적인 목표로, 궁극적으로는 모든 차량용 반도체의 현지 조달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술 표준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공업정보화부는 1월 수립한 ‘국가 자동차 반도체 표준 시스템 구축 가이드라인’에서 내년까지 30종 이상의 중요 차량용 반도체에 관한 기술 표준을 수립할 것을 업계에 요구했다.
가이드라인은 완성차 및 핵심 시스템 관련 반도체 성능 테스트를 정비해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표준 제정을 통해 자동차 대기업과 반도체 기업의 긴밀한 협력을 실현하고 자동차 대기업의 현지 조달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미·중 반도체 대립이 격화하면서 양국 기업들은 전기차 및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미국은 차량용 반도체에 사용되는 제조 기술 대부분이 최첨단 기술이 아니므로 이와 관련해서는 대중국 수출을 규제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반도체 업체들은 제조 장비를 해외에서 조달해 차량용 반도체 분야를 강화할 수 있다.
중국 정부가 현지 조달을 늘려 독자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것은 반도체뿐만 아니다. 전기차에 필수적인 전자제어장치, 디스플레이, 충전 시스템 등으로 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반도체뿐만 아니라 자동차 공급망 전체에서 해외 업체와 중국 업체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