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김치 수출 4.8%↑…170만 달러 흑자 전환

입력 2023-08-06 11: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7년 3억 달러 수출 목표…우수종균 개발·상품 다양화 등 효과

▲베트남 현지 대형마트에 진열된 한국산 김치. (베트남 하노이=이해곤 기자)
▲베트남 현지 대형마트에 진열된 한국산 김치. (베트남 하노이=이해곤 기자)

올해 상반기 김치 수출이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무역수지도 흑자로 전환했다. 정부는 우수 종균 개발과 맞춤형 수출 전략 등으로 2027년까지 김치 수출액 3억 달러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6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김치 수출액은 8100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 7700만 달러에서 4.8%가 늘었다. 평년 6700만 달러와 비교하면 20.3%가 늘어난 수치다. 수출량도 지난해 2만2000톤에서 2만3000톤으로 늘었다.

김치 수출액이 늘어나면서 지난해 상반기 적자였던 무역수지도 흑자로 돌아섰다. 상반기 기준 김치 무역수지는 2018년 1690만 달러 적자에서 꾸준히 수출이 늘어나면서 2020년에는 30만 달러 흑자로 전환했고, 2021년에는 1830만 달러까지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상반기는 다시 75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정부는 김치 수출을 꾸준히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최근 '제3차 김치산업진흥 종합계획(23~27)'에서 2027년까지 김치 산업 규모는 7조 원, 수출액은 3억 달러까지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수출을 위한 우수 종균을 현재 27종에서 2027년 60종으로 늘리고, 중소 수출업체 대상 종균 보급률도 18.4%에서 9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아울러 기능성 표시제품·비건·저염김치 등 현지 맞춤형 상품 다양화, 수출김치 숙성 지연을 위한 장기유통 기술개발 등도 함께 추진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현재 해외 8개 지역에서 제정한 '김치의 날'을 15개 지역으로 늘리고, 김치 이슈 대응 등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세계김치연구소, 김치협회 등 11개 기관이 참여하는 '김치산업 관계기관 협의체'를 상시 운영해 김치 수출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투자 확대 10곳 중 1곳 뿐⋯'경제 한파' 이미 시작됐다 [차기정부 기업과제 설문]
  • 타스만·무쏘EV 출격에 ‘픽업트럭 전성기’ 열렸다 [ET의 모빌리티]
  • “출근길 67점, 퇴근 후 39점”…얼굴로 본 스트레스 보고서 ‘마음첵’ [써보니]
  • 은행 예금 ‘식고’ 저축은행 ‘후끈’…예테크족 시선 집중
  • 삼성전자, 獨 HVAC 기업 '플렉트' 인수 추진
  • 글로벌 항노화 전쟁 시작…국내 기업도 ‘노화 치료제’ 개발 본격화 [돈이 되는 항노화②]
  • '고양이 그림자 사진 챌린지' SNS 피드 점령…만드는 방법은?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13:5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080,000
    • +0.72%
    • 이더리움
    • 3,754,000
    • +8.09%
    • 비트코인 캐시
    • 575,500
    • +2.22%
    • 리플
    • 3,622
    • +3.22%
    • 솔라나
    • 255,500
    • +6.37%
    • 에이다
    • 1,161
    • +3.85%
    • 이오스
    • 1,232
    • +1.15%
    • 트론
    • 385
    • +3.49%
    • 스텔라루멘
    • 439
    • +2.0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550
    • +2.63%
    • 체인링크
    • 24,380
    • +5.27%
    • 샌드박스
    • 523
    • +7.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