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와 정지궤도 환경위성 자료 공유 양해각서 체결

입력 2023-07-30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기오염·기후변화·재난 문제 공동 대응 추진

▲2020년 11월 18일 인천시 서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에서 열린 정지궤도 환경위성 아시아 대기질 영상 첫 공개 행사에서 직원이 영상을 보고 있다. (뉴시스)
▲2020년 11월 18일 인천시 서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에서 열린 정지궤도 환경위성 아시아 대기질 영상 첫 공개 행사에서 직원이 영상을 보고 있다. (뉴시스)

한국과 싱가포르가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재난 문제에 함께 대응하기로 약속했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31일 싱가포르에서 싱가포르 환경청과 정지궤도 환경위성 자료 공유 등 협력 사항을 포함한 양해각서를 체결한다고 30일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월경성 대기오염 문제, 기후변화, 환경보건, 재난위험 저감 등을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아시아 지역은 인구 증가와 도시화로 대기오염이 빠르게 늘고 있으며, 대기오염으로 인한 전 세계 사망자 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대기오염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인접국의 연무 공해를 예방하기 위해 아세안(ASEAN) 10개국과 '아세안 월경성 연무 오염에 관한 협정'을 채택해 공동 대응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국외 영향에 따른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동북아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2021년 8월 에릭 테오 주한 싱가포르 대사는 환경부를 찾아 2020년 2월 발사에 성공한 우리나라의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에 관심을 표명했으며, 지난해 1월 싱가포르 환경청, 싱가포르 한국대사관, 국립환경과학원 간의 실무회의를 거쳐 이번 양해각서를 체결하게 됐다.

싱가포르는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환경위성 공동 활용 플랫폼 구축사업에 참여해 환경위성 관측자료 검증과 개선에 협력하고 환경위성 활용 기술 공동개발 등을 3년간 수행할 계획이다.

또한 양국의 연구진은 연구 결과를 각 기관이 개최하는 학술회, 워크숍 등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정지궤도 환경위성이 아시아 지역의 대기 감시와 연구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0:5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84,000
    • -0.92%
    • 이더리움
    • 5,234,000
    • -1.62%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38%
    • 리플
    • 727
    • +0%
    • 솔라나
    • 233,400
    • +0.3%
    • 에이다
    • 628
    • -0.95%
    • 이오스
    • 1,123
    • +0.09%
    • 트론
    • 156
    • +1.96%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300
    • -0.29%
    • 체인링크
    • 26,050
    • +2.32%
    • 샌드박스
    • 619
    • -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