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부토건, 우크라이나 재건관련 추가 프로젝트 추진…스마트시티 4.0 프로젝트 MOU 체결

입력 2023-06-28 11: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부토건CI
▲삼부토건CI

삼부토건이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해 우크라이나 르비우(Lviv) 지역의 스마트시티 4.0 프로젝트 참여를 추진하고 있다.

삼부토건은 지난 27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우크라이나 IPGD(Industrial Park Global Development)사와 스마트시티 4.0 참여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MOU 체결에 따라 삼부토건의 우크라이나 복구사업 진행에 더욱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르비우 스마트시티 4.0 프로젝트는 다른 이름으로 IPGD(Industrial Park Global Development) 프로젝트라고도 하는데 시행법인의 이름이기도 하고 프로젝트 명칭이기도 한 것이다.

IPGD는 스마트시티 4.0 프로젝트를 위해 르비우 지역을 할당받았다. 사업부지 면적은 57.73㎢로 로 이는 분당 면적의 0.83배에 달한다. 이 스마트시티 4.0 단지 안에는 주거 및 업무 지구, 올림픽 빌리지, 교육, 농업 제약, 항공훈련, 공항터미널 및 물류단지로 구성된다.

르비우는 E40번 국제고속도로와 인접해 있고, EU국경에 자리 잡고 있어 경제, 지리적으로 양호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근처에 ‘호로독(Horodok)’통관사무소가 있어 철도, 도로, 항공운송과 연계가 용이한 지역이다.

앞서 삼부토건은 우크라이나 피해 도시 중 코노토프(Konotop)시, 마리우폴(Mariupol)시, 이르핀(Irpin)시, 폴란드 건설회사 ‘F1 Family Holding LLC’와 재건사업 관련 포괄적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삼부토건 관계자는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포럼 참석 이후 피해 도시 및 기업들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협의를 해 IPGD와 MOU를 체결 할 수 있었다”며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참여 규모를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르비우 스마트시티 4.0 프로젝트 참여는 삼부토건의 이름을 글로벌 시장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중갈등ㆍ관세전쟁, ‘ESG 경영’ 난관…전문가들 지속가능 전략 모색 [2025 지속성장전략 포럼]
  • 단독 삼성월렛, 新 상품권 출원⋯뉴 디지털 금융 플랫폼 대전환 예고
  • 상대방 송금계좌가 의심된다면…‘사기 의심 계좌 조회 서비스’로 확인해보자 [경제한줌]
  •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0.8% 하향 조정…“건설경기 부진 및 소비 회복 더뎌”
  • 팅커벨 출몰…2025버전 동양하루살이 전쟁 발발 [요즘, 이거]
  • "투표지 SNS에 올리면 벌금"…21대 대선 사전투표 유의사항은? [데이터클립]
  • 대기업 몰리자 ‘20억’ 신고가⋯훈풍 부는 마곡 집값
  • "입덕 계기? '고잉 세븐틴' 봤어요"…요즘 아이돌은 '자컨'으로 말한다 [엔터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696,000
    • -0.04%
    • 이더리움
    • 3,703,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576,500
    • +1.41%
    • 리플
    • 3,184
    • +0.92%
    • 솔라나
    • 237,100
    • -0.08%
    • 에이다
    • 1,031
    • -0.67%
    • 이오스
    • 1,025
    • -0.58%
    • 트론
    • 385
    • +0.52%
    • 스텔라루멘
    • 397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200
    • +0.82%
    • 체인링크
    • 21,490
    • -0.6%
    • 샌드박스
    • 422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