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핵심소재 中의존도 '확' 낮춘다

입력 2023-06-07 10: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호주 기업과 인조흑연 JDA 및 투자계약
배터리 음극재 핵심소재 공동개발 추진
성공하면 10년 동안 5만t 이상 공급 계약
3000만 달러로 노보닉스 전환사채 인수

(자료=산업연구원 / 한국무역협회)
(자료=산업연구원 / 한국무역협회)

LG에너지솔루션이 북미 지역 배터리 핵심 소재인 인조흑연의 공급망을 강화한다. 현재 90%가 넘는 중국 의존도를 크게 낮추는 한편, 이를 통해 미국 IRA 규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기준 인조 흑연 중국산 비중이 91.1%다. 이를 다변화해 주요 전기차 시장인 미국의 IRA에 대응한다는 전략도 깔려있다.

7일 LG에너지솔루션(엔솔)은 호주 배터리 소재·장비 기업 노보닉스(Novonix Limited)와 인조흑연 공동개발협약(JDA·Joint Development Agreement) 및 전략적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인조흑연은 배터리 음극재 핵심 소재다.

이번 협약에 따라 LG엔솔은 노보닉스와 인조흑연의 공동개발을 추진한다. 제품 개발에 성공할 경우 10년간 5만t 이상의 물량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일정 기간 노보닉스 생산 물량을 독점 공급받는 한편,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품을 구매하게 된다.

이와 함께 투자 안정성 확보와 핵심 소재 기업과의 공고한 협력관계구축을 위해 약 3000만 달러를 투자해 노보닉스 전환사채(CB)도 인수한다. 정해진 기간 LG엔솔이 원하면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이다.

호주 브리즈번에 본사를 둔 노보닉스는 2012년에 설립된 음극재 제조업체다. 현재 미국 테네시(Tennessee)주에 인조흑연 생산 공장을 보유하는 등 북미 지역 내 탄탄한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Inflation Reduction Act)에도 대응이 가능한 업체다.

LG에너지솔루션 구매센터장 김동수 전무는 “북미 지역 내 생산능력을 갖춘 노보닉스와의 협력을 통해 배터리 핵심 소재인 음극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해 급증하는 고객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며 “핵심 원재료 공급망을 선제적으로 구축해 고객에게 세계 최고 수준의 QCD(품질·비용·납기)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정우성이 연기한 ‘장태완’…‘서울의 봄’ 실제 인물의 삶은
  •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 실패…대역전극ㆍ이변은 없었다
  • 10만 원은 이제 기본…2024 서울 호텔 ‘딸기 뷔페’ 총정리 [인포그래픽]
  • 라붐 해인, 25일 비연예인과 결혼…혼전임신 겹경사
  • 단독 고속도로 만든다더니 아파트를?…법원 "땅 주인에 6억1000만원 배상"
  • 단독 “블랙프라이데이 땜에 프라이데이 못 쉬어”…무신사 직원들 또 분통
  • HBM 가고 ‘온디바이스 AI’가 온다...관련주 급등세
  • 내년에도 이차전지주 달린다…영업익 40% ‘껑충’ 전망
  • 오늘의 상승종목

  • 11.29 11:0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50,566,000
    • +1.29%
    • 이더리움
    • 2,733,000
    • +0.59%
    • 비트코인 캐시
    • 298,300
    • +0.1%
    • 리플
    • 814.7
    • +0.65%
    • 솔라나
    • 77,500
    • +5.3%
    • 에이다
    • 513
    • +1.3%
    • 이오스
    • 902.8
    • +0.21%
    • 트론
    • 137.8
    • +2.23%
    • 스텔라루멘
    • 158.1
    • +0.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50
    • +2.29%
    • 체인링크
    • 19,390
    • +1.62%
    • 샌드박스
    • 549.8
    • +2.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