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쓸어가는 글로벌 중앙은행들

입력 2022-12-02 13: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3분기만 400톤 국고로 들어가
1968년 금시장 붕괴 후 가장 빠른 속도
인플레ㆍ긴축에 안전자산 몰린 탓
러시아 제재 후 신흥국 관심도 높아져

▲남아프리카공화국 저미스톤의 금 저장소에 금괴가 보인다. 저미스톤(남아공)/로이터연합뉴스
▲남아프리카공화국 저미스톤의 금 저장소에 금괴가 보인다. 저미스톤(남아공)/로이터연합뉴스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공개적으로 금을 다시 사들이고 있다. 그간 투자자들로부터 외면당하던 금이 인플레이션이 치솟고 증시 변동성이 커지자 안전자산 지위를 되찾는 모양새다.

1일(현지시간) 영국 주간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3분기에만 금 400톤이 중앙은행들 금고로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1월부터 9월까지 유입된 누적 매장량은 670톤에 달한다.

튀르키예는 5월에만 20톤 가까운 금을 사들였고 인도와 카타르,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도 대거 금 매입 대열에 동참하고 있다.

그 결과 금 매입 속도는 국제 금 시장이 붕괴했던 1968년 이후 가장 빠른 것으로 집계됐다. ‘런던 골드 풀’로 불리는 당시 붕괴로 런던 금시장은 2주간 문을 닫기도 했다.

▲전 세계 분기별 금 매입 추이. 단위 톤. 3분기 400톤. 출처 이코노미스트.
▲전 세계 분기별 금 매입 추이. 단위 톤. 3분기 400톤. 출처 이코노미스트.
현재 각국 중앙은행이 금 매입을 서두르는 건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인플레이션과 주요국 긴축으로 인해 내년 경기침체 위험이 더 커진 탓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공격적으로 금리를 높이면서 중앙은행이 보유 중인 채권 가격도 내려간 상태다. 이제 이들은 안전자산인 금을 확보해 장기적인 자산 운용에 어려움을 피하려 하고 있다.

또 다른 안전자산인 달러 가치가 치솟은 상황에서 금값이 하락한 점도 매수 기회로 작용했다. 올해 들어 금값은 3% 하락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과거에 그랬듯 금을 사는 건 달러 일부를 대체하는 방법이기도 하다”며 “신흥국 시장의 달러 보유고는 대부분 실제 지폐가 아닌 채권으로 이뤄져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은 현 상황을 연준의 인플레이션 잡기에 베팅하는 대신 자산을 금으로 바꾸라는 신호로 삼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 매입은 우크라이나 전쟁 후 서방의 대러 제재를 우회하는 방법으로 부상하기도 했다. 러시아는 3월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퇴출당한 상태다. 더는 러시아 루블이 글로벌 금융 거래에서 취급되지 않자 튀르키예나 투르크메니스탄 등 그간 러시아와 자주 거래하던 신흥국들도 루블 대신 금 보유를 늘리기 시작했다. 공격적인 금 매입에 신흥국들이 대거 포함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코노미스트는 “루블을 외화준비금으로 보관하는 중앙은행은 거의 없다”며 “금은 러시아와 상당 수준 거래하는 국가들에 대체 통화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망사고까지…싱크홀, 도대체 왜 발생하는 걸까? [해시태그]
  • 퇴직자·임직원 짜고 882억 부당대출…은행 대형비리 또 터졌다
  • '위기 속 빛난 이순신 리더십' 韓 기업 최초 2기 백악관 뚫은 정의선
  • 성장이냐 상품화냐…'언더피프틴'이 던진 물음표 [이슈크래커]
  • ‘1주년’ 맞은 아일릿 “힘든 일 많았지만, 함께여서 버틸 수 있었죠” [일문일답]
  • 영남권 중심으로 거세게 이어지는 산불…종합 피해 상황은? [이슈크래커]
  • 코인 묵히면서 벌자…파이 늘리고 싶은데 '파밍' 참여 망설였다면 [코인가이드]
  • "방송만 잘하는 게 아니네"…예능계 대표 MC 신동엽이 사는 '아크로리버파크'는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391,000
    • -0.52%
    • 이더리움
    • 3,045,000
    • -1.04%
    • 비트코인 캐시
    • 495,100
    • +0.79%
    • 리플
    • 3,607
    • -0.58%
    • 솔라나
    • 212,000
    • +1.29%
    • 에이다
    • 1,101
    • +1.29%
    • 이오스
    • 846
    • -0.35%
    • 트론
    • 336
    • -0.59%
    • 스텔라루멘
    • 429
    • -0.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950
    • +0.29%
    • 체인링크
    • 22,770
    • +1.79%
    • 샌드박스
    • 453
    • +2.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