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5개 유형 청년 공간 2024년까지 광역·지역형으로 통폐합
서울시가 지난해 바로 세우기 일환으로 지적된 서울 청년 공간에 대한 기능 및 성과진단, 개선방향을 전면 재검토한다. 이에 따라 청년허브, 무중력지대 등 5개 유형의 청년 공간이 2024년까지 '광역'과 '지역'의 2개 유형으로 통폐합된다.
17일 서울시는 청년 공간의 역할 재정립과 전달체계 간소화 등 중장기 목표와 5대 개선 과제를 담은 ‘서울 청년 공간 재구조화 종합계획’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서울 청년 공간은 청년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의 각종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세워졌다. 지난 2013년 청년허브를 신설한 이후 청년 공간은 무중력지대, 청년활동지원센터, 청년교류공간, 서울청년센터 등 5개 유형 21곳으로 확대됐다.
하지만 청년의 자율성을 보장한다는 운영기조에 맞춰 시설이 확장됨에 따라 공간 간 기능이 겹치거나, 정책전달 기능제한 등 운영상 행정‧재정적 비효율이 잇따랐다. 이에 따라 올해초부터 전문가, 청년당사자 등으로 구성된 서울 청년공간 재구조화 기획TF를 발족해 서울청년 공간 기능개편 및 재정립 종합방안을 마련하게 됐다.
우선 현재 5개 유형의 청년 공간은 2024년까지 ‘광역’과 ‘지역’의 2개 유형으로 통폐합한다. 무중력지대와 청년교류공간은 올해로 운영을 종료하고, 내년부터 생활권 단위시설은 서울청년센터로 일원화한다. 또 청년활동지원센터, 청년허브는 2024년부터 서울광역청년센터로 통합된다.
2024년 청년 공간이 재편되면 간소한 전달체계를 통해 실질적인 정책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활권 서울청년센터는 청년 관련 시 정책 집행과 전달, 취약청년 연계 지원을 수행하고 광역센터는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청년 공간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 지역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청년네트워크와 협력 관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매월 청년 공간 홍보 실무회의를 개최해 실적을 공유하고 소통도 강화한다.
아울러 청년 기본법 개정으로 종사자 전문성 확보, 급여체계 일원화 등 공공시설 운영을 위한 시스템을 마련하고, 매년 운영매뉴얼을 발간해 적용할 계획이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청년 문제와 고도화된 청년정책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기능을 한 단계 높여야 하는 시점이 됐다”라며 “전국적으로 청년 공간이 늘고 공공시설로 격상되는 시점에서 서울시가 사각지대 없이 모든 청년에게 맞춤형 정책서비스를 지원하는 선도적인 공간모델로서 역할을 다하도록 운영수준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