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파느니 증여하겠다”…서울 주택 증여 비중 12.5%로 ‘역대 최고’

입력 2022-11-09 09: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노원구는 주택 거래 4건 중 1건이 증여 거래

▲서울 주택 전체 거래 대비 증여 비중 (자료제공=경제만랩)
▲서울 주택 전체 거래 대비 증여 비중 (자료제공=경제만랩)

올해 전국 주택 전체 거래에서 증여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9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 거래원인현황을 살펴본 결과 올해 1~9월 전국 주택 거래량 74만8625건 중 증여 거래량은 6만5793건으로 전체의 8.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6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전국에서도 주택 증여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시다. 서울 주택 거래량 중 증여 거래 건수는 9901건으로 전체의 12.5%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증여 비중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노원구로 나타났다. 올해 1~9월 노원구의 주택 거래량은 1999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증여는 556건으로 전체의 27.8%에 달해 주택 거래 4건 중 1건이 증여 거래로 확인됐다.

이어 종로구 주택 증여 거래 비중이 21.1%를 기록했으며 용산구 19.5%, 서대문구 18.4%, 중구 16.1%, 송파구 15.8%, 서초구 14.9%, 양천구 14.6%, 영등포구와 강북구 13.6%, 도봉구 12.9%, 성동구 12.6%, 마포구와 강남구는 12.5%로 확인됐다. 주택 증여 거래 비중이 가장 낮은 자치구는 금천구로 6.4%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렇게 주택 증여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내년부터 증여로 인한 취득세 기준이 시가표준액에서 시가인정액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시가표준액은 정부가 부동산에 대한 세금을 징수하기 위해 공시하는 가격(공시지가)으로 통상적으로 시세의 60~70% 수준이지만, 증여 취득세를 시가인정액으로 산정하면 세액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여기에 부동산 가격 하락기에 급매로 파느니 차라리 증여하자는 심리적 요소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절대적인 증여 거래량은 줄어들었지만 주택가격 하락으로 증여세 산정 기준가격이 낮아졌고, 증여 취득세 기준변경까지 맞물리면서 증여 거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올여름 폭염·폭우 지속될 것…미리 대비해야"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71,000
    • -0.38%
    • 이더리움
    • 4,978,000
    • +1.24%
    • 비트코인 캐시
    • 616,500
    • -1.67%
    • 리플
    • 678
    • -0.73%
    • 솔라나
    • 209,000
    • -1.83%
    • 에이다
    • 599
    • -0.99%
    • 이오스
    • 964
    • -0.21%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40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300
    • -0.89%
    • 체인링크
    • 21,740
    • -0.46%
    • 샌드박스
    • 561
    • -0.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