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해군참모총장 “중국, 이르면 올해 안에 대만 침공할 수 있어”

입력 2022-10-20 12: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모든 일 예상보다 더 일찍 하는 경향 있어”
“올해 혹은 내년 가능성 배제해선 안 돼”

▲마이클 길데이 미국 해군참모총장. 워싱턴D.C.(미국)/AP뉴시스
▲마이클 길데이 미국 해군참모총장. 워싱턴D.C.(미국)/AP뉴시스
마이클 길데이 미국 해군참모총장이 “이르면 올해 안에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길데이 총장은 전날 애틀랜틱카운슬이 주최한 토론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대만 분리주의에 경고를 날린 데 대해 미군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냐’는 질문에 이같이 전망했다.

그는 “시 주석의 말뿐만 아니라 중국인들이 어떻게 행동하고, 무엇을 하려는지도 중요하다”며 “지난 20년간 우리가 보아온 중국은 그들이 하겠다고 말한 모든 것들을 애초에 하려고 했던 시간보다 더 빨리 이행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따라서 2027년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이 점쳐질 때도 이르면 올해 또는 내년에 침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길데이 총장이 말한 2027년은 지난해 3월 필립 데이비슨 당시 미 인도태평양사령관이 미 상원 청문회에서 “중국이 6년 이내에 대만을 침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 데서 기인한다.

2027년은 중국군 창설 100주년이 되는 해다. 중국은 그때까지 전투력을 현대화한다는 목표를 내걸었을 뿐 아니라 시 주석의 4연임이 결정되는 21차 당대회가 열리는 해이다.

길데이 총장은 “점점 더 공격적인 중국과 러시아를 보면서 미 해군은 함대 규모를 확장하는 등의 노력보다 ‘오늘 밤 전투 태세’를 우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일상적으로 동맹이나 파트너들과 협력하지 않고 하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런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과 영국, 호주의 안보 파트너십인 오커스와 일본 등의 협력 강화 사례를 언급했다.

시 주석은 앞서 16일 20차 당대회 개막식 연설에서 ‘대만 통일 전쟁’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그는 “대만 문제 해결은 중국인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무력 사용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역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51,000
    • -0.49%
    • 이더리움
    • 5,296,000
    • +1.63%
    • 비트코인 캐시
    • 644,000
    • -0.08%
    • 리플
    • 725
    • +0.28%
    • 솔라나
    • 233,500
    • +1.3%
    • 에이다
    • 628
    • +0.96%
    • 이오스
    • 1,130
    • +0.62%
    • 트론
    • 156
    • +1.3%
    • 스텔라루멘
    • 150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150
    • -0.58%
    • 체인링크
    • 25,840
    • +3.9%
    • 샌드박스
    • 607
    • +0.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