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LG디스플레이, ‘차량용 OLED 패널’ 글로벌 최고 화질 인증 소식에 ‘상승세’

입력 2021-12-27 09: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G디스플레이의 ‘차량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이 독일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로부터 ‘우수 시인성 차량용 OLED’ 인증을 받았다는 소식에 주가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27일 오전 9시 53분 기준 LG디스플레이는 전일 대비 2.16%(500원) 오른 2만36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업계에 따르면 차량용 컬러 디스플레이는 최근 차량 내비게이션을 비롯한 인포테인먼트, 클러스터(계기판)의 성능과 정보 제공량이 많아지면서 수요가 커지고 있다.

기존에는 패널 뒤에서 빛을 내는 조명(백라이트)이 필요한 액정표시장치(LCD)가 많이 쓰였지만, 차량 디지털화가 빨라지면서 백라이트 없이도 화소 스스로 빛을 내고 곡면 등 여러 형태로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는 OLED 쓰임새가 늘고 있다.

LG디스플레이 차량용 OLED 패널은 운전자가 주·야간에 접하는 밝기를 비롯해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 색상과 휘도를 99% 이상 유지한다.

영하 40도와 같은 강추위 환경에서도 평시와 같은 화질을 유지하고 어떠한 시야각에서도 왜곡 없이 정확하게 표현한다는 평가도 받는다.

한편 증권가에서는 LG디스플레이의 신사업 가치가 아직 주가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승여력이 충분하다는 목소리가 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현재 LG디스플레이 주가는 삼성전자와 애플의 신사업 가치가 미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추가 상승여력이 충분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는 2022년 추정 실적 기준 현재 시가총액 대비 순자산(P/B)이 0.55배를 기록해 과거 10년 평균 P/B(0.6배) 수준을 하회해 저평가돼 있다”며 “2022년 P/B 0.69배를 적용한 목표주가 2만8000원이 연간 3조 원 규모의 삼성 패널 공급의 빅딜, 애플 메타버스 XR 기기, 자율주행차 (애플카) 등의 신사업 가치를 사실상 반영하지 않은 수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LG디스플레이의 삼성전자, 애플과의 거래는 3년 이상의 장기공급 형태가 될 것으로 추정되어 향후 전략적 동맹관계 구축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장중 매매동향은 잠정치이므로 실제 매매동향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오늘(18일) 의협 주도 병원 집단 휴진…휴진 병원 대상 불매운동 움직임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비트코인, ETF 매도세 지속에 지지부진…"자산운용사도 ETF 매수 주저"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259,000
    • -0.84%
    • 이더리움
    • 4,845,000
    • -3%
    • 비트코인 캐시
    • 555,000
    • -5.69%
    • 리플
    • 691
    • +0.88%
    • 솔라나
    • 192,000
    • -6.84%
    • 에이다
    • 533
    • -7.3%
    • 이오스
    • 788
    • -12.35%
    • 트론
    • 161
    • -1.83%
    • 스텔라루멘
    • 129
    • -5.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00
    • -7.89%
    • 체인링크
    • 19,240
    • -7.05%
    • 샌드박스
    • 447
    • -13.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