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가스전 빈 공간에 이산화탄소 저장…30년간 1200만톤

입력 2021-11-18 12:35 수정 2021-11-18 13: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달 9500억 원 규모 예타 조사

▲사업 추진 개념도.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사업 추진 개념도.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국내 처음으로 동해 가스전을 활용해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상용화 사업을 추진한다. 가스를 재취해 빈 공간이 발생한 동해 가스전에 연간 40만톤, 30년 간 1200만 톤 규모의 온실가스 을 포집·저장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내달 9500억 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도 진행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엘타워에서 ‘동해 가스전을 활용한 CCS 통합실증사업’ 공청회를 열고 국내 최초의 상용 규모 이산화탄소 저장 사업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동해 CCS 실증사업은 울산지역 산업단지 수소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동해 가스전 고갈 저류층에 저장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수소플랜트 연40만톤급 포집 기술, 공정 기술 고도화(포집) △압축·정제·액화 터미널 구축·운영, 육·해상 최적 수송 기술(수송) △최적 운영·관리, 안전성 고도화, 주입 효율 향상 기술(저장) 등 기술을 개발한다.

2025년부터 연간 4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 30년간 1200만톤 규모의 온실가스 감축에 직접 기여하겠단 목표다.

또 이 사업은 내 최초 상용 규모 CCS R&D 사업인 동시에 국내 최초 블루수소 생산 사업으로 안전성과 경제성이 매우 우수한 실증 사업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동해 가스전이 육상에서 60㎞ 먼바다에 있고, 누출 경로가 없는 것이 이미 확인된 고갈 가스전 저류층을 활용하는 것이므로 안전성이 확인된 저장소란 장점을 지녔다.

또 기존 자원개발 생산시설, 해상 플랫폼, 해저 수송배관 등을 활용해 비용 절감을 줄일 수 있고, 동해 가스전 인근에 대규모 유망저장소가 존재 사업 확장을 통한 규모의 경제도 실현 가능할 것으로 산업부는 보고 있다.

천영실 산업부 에너지전환정책관은 “동해 CCS 실증 사업 추진을 위해 올해 12월 중 9500억 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하고, 시설구축을 거쳐 2025년경부터 이산화탄소 저장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강야구'도 이걸로 봐요"…숏폼의 인기, 영원할까? [이슈크래커]
  • "알리·테무·쉬인, 가격은 싼데…" 평가 '극과 극' [데이터클립]
  • “푸바오를 지켜주세요”…중국 선수핑 ‘비공개 구역’에선 무슨 일이? [해시태그]
  • 없어서 못 파는 글로벌 비만치료제, 국내는 언제 상륙?
  • “엔비디아 HBM 부족, 삼성전자가 공급”…삼전 ‘매수’ 권하는 증권가
  • '선재 업고 튀어' 변우석, 화보 공개…선친자 마음 훔친 '만찢남'
  • 전기차 수요 브레이크, 우회로 찾는 K배터리 [K배터리 캐즘 출구전략]
  • 단독 서울 북한산 전망 가능한 한옥 컨셉 스파·온수풀 생긴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333,000
    • +0%
    • 이더리움
    • 5,369,000
    • -0.35%
    • 비트코인 캐시
    • 678,500
    • -0.22%
    • 리플
    • 741
    • -0.27%
    • 솔라나
    • 235,300
    • +2.57%
    • 에이다
    • 647
    • +0.78%
    • 이오스
    • 1,173
    • +0.51%
    • 트론
    • 155
    • -1.9%
    • 스텔라루멘
    • 154
    • +0.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500
    • -0.34%
    • 체인링크
    • 25,820
    • +7.72%
    • 샌드박스
    • 639
    • +2.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