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건 토스 대표 “국민 소액 후원 문화 관심갖는 계기되길”

입력 2021-07-05 17: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치후원금 보내기’ 서비스 시작…기부내역 소셜미디어 공유 가능

“소액 후원 문화 관심 갖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이승건<사진> 토스 대표가 5일 ‘정치후원금 보내기‘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정치원후원금 보내기 서비스는 토스 앱에서 국회의원 이나 정당을 선택하고 간편 송금으로 후원금을 보낼 수 있다. 기부금 영수증 발급을 위한 정보도 앱 내에서 입력하면 된다.

송금할 수 있는 후원금은 1회 최대 120만 원이다. 관련 법령에 따라 후원회 1곳에 보낼 수 있는 연간 한도는 최대 500만 원, 다수 후원회 기부시 총 기부 한도는 연 2000만 원으로 제한된다. 법인 및 단체, 미성년자, 공무원, 외국인 등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공익적 취지에 맞춰 송금에 대한 수수료는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

이 대표는 “금융의 맥락을 활용해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서비스를 고민하던 중, 이번 서비스를 선보이게 됐다“며 ”쉽고 간편하게 정치 후원금을 기부하고 기부 내역을 소셜미디어에 공유도 가능해진만큼 더 많은 국민들이 소액 기부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정치 후원금을 기부하려면 주로 각 의원실이나 정당 후원회에 직접 연락하거나 홍보물 등을 통해 입금 계좌를 일일히 확인해야 했다. 또, 연말정산 시 기부금 세액 공제를 받기 위해, 유선으로 주소 등 개인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았다.

현재 서비스를 신청한 후원회는 국회의원실 21곳과 중앙 정당 4곳으로,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후원금 모집 주체는 각 국회의원 및 정당의 후원회다. 토스는 이들의 신청을 받아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정치기부금은 연말정산시 10만 원까지 전액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10만 원 초과분은 15%까지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 혜택이 제공된다.

한편, 6월말 현재 토스 사용자는 2000만 명이다. 세대별로는 20대의 80%, 30대의 67%, 40대의 50%가 이용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문수 후보직 박탈-한덕수로 강제교체...파국 치닫는 국힘
  • 3050 공략 스테디셀러 ‘삼국지 IP’, 어떤 게임 해볼까? [딥인더게임]
  • “러닝족은 귀하신 몸”…패션업계, 러너 체험 마케팅·전문관 봇물
  • ‘단종할 땐 언제고’...식품업계, 저비용·높은 화제성 노린 재출시 열풍
  • “유심 털리니 계좌도 걱정”…은행권, ‘얼굴 인증’ 강화
  • 죽은 연애 세포 되살려내는 '바이러스'…배두나·김윤석·장기하의 만남 [시네마천국]
  • "이곳저곳 떠나보세요"…황금연휴, 가족 행사로 마무리하는 법 [주말N축제]
  • 중국, 미국 수출 제재에도 엔비디아 칩 확보한 방법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53,000
    • +0.9%
    • 이더리움
    • 3,593,000
    • +9.91%
    • 비트코인 캐시
    • 597,000
    • +4.1%
    • 리플
    • 3,420
    • +4.62%
    • 솔라나
    • 245,900
    • +2.03%
    • 에이다
    • 1,166
    • +7.56%
    • 이오스
    • 1,303
    • +9.22%
    • 트론
    • 368
    • +1.1%
    • 스텔라루멘
    • 444
    • +7.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650
    • +5.48%
    • 체인링크
    • 24,070
    • +7.84%
    • 샌드박스
    • 514
    • +10.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