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령화 속도 OECD 중 가장 빨라…5년 뒤 '초고령사회' 진입

입력 2021-03-03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령화 비율 연평균 3.3% 증가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우리나라 저출산ㆍ고령화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중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는 예측도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3일 '저출산ㆍ고령화 추세 국제비교와 정책시사점'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한경연이 OECD 통계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은 1970년 4.53명에서 2018년 0.98명으로 줄었다. 연평균 3.1%씩 감소한 것이다. OECD 37개국 중 가장 빠른 속도다.

연도별로 보면 1984년 합계 출산율이 1.74명으로 미국(1.81명)보다 낮았다. 1993년에는 1.65명으로 프랑스(1.66명)를 밑돌았다. 2001년 들어 1.31명으로 내려앉으면서 일본(1.33명)보다 낮아졌다.

고령화 속도도 가장 빨랐다. 1970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고령화 비율 증가율은 3.3%였다. 우리나라는 2000년 고령인구 비중이 7% 이상인 '고령화사회'로 진입했다. 이후 18년 만인 2018년 고령 인구 비중이 14% 이상인 '고령사회'로 들어섰다.

OECD는 이 추세라면 고령사회 진입 8년 만인 2026년에 고령 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고 내다봤다.

2036년에는 고령화 비율이 OECD 3위인 이탈리아를 제치고 2050년에는 스페인(2위)과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합계 출산율이 0.25명 감소할 때 성장률은 0.9%포인트 감소한다. 고령 인구 비율이 1%포인트 상승하면 성장률은 0.5%포인트 줄어든다.

한경연은 고령 인구 비중이 커질수록 재정 건전성이 악화한다고 진단했다. 이 때문에 성장 잠재력을 보강하는 대책과 재정 건전성을 확보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 저출산ㆍ고령화 속도가 OECD에서 가장 빠르다는 것은 우리나라 성장력 약화와 재정 건전성 악화가 두드러진다는 것을 뜻한다"며 "규제 개혁과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재정 건전성 준수 장치 마련 등 성장력 보강 및 재정 건전성 확보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827,000
    • -1.1%
    • 이더리움
    • 4,965,000
    • -1.33%
    • 비트코인 캐시
    • 587,000
    • -3.53%
    • 리플
    • 707
    • +1.58%
    • 솔라나
    • 205,100
    • +0.44%
    • 에이다
    • 572
    • -2.05%
    • 이오스
    • 890
    • -4.51%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7
    • -1.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450
    • -3.23%
    • 체인링크
    • 20,570
    • -2.14%
    • 샌드박스
    • 505
    • -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