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보고서] 근원물가 하락 주범은 공공서비스물가와 집세

입력 2018-11-08 12:00 수정 2018-11-08 14: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여도 전년대비 각각 0.2%p·0.1%p 낮아져..무상교육vs공공요금인상 지켜봐야

(한국은행)
(한국은행)
우리나라 근원물가가 유독 낮은 것은 정부의 교육·의료 등 복지정책 강화에 따른 공공서비스물가 하락과 집세하락 영향이 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8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근원물가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물론 주요국 근원물가와 비교하더라도 유독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는 중이다. 실제 올 9월 기준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를 기록한 반면,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0% 오름세에 그쳤다. 이는 미국 등 주요 7개국(G7) 근원물가 1.4%보다도 낮은 것이다.

이는 공공서비스물가와 집세가 떨어진데 따른 것이라는게 한은측 설명이다. 실제 올들어 9월까지 1.2% 오른 근원물가 동향을 품목별로 보면, 상품은 0.3%, 학교급식비와 병원검사료 등 관리물가를 제외한 개인서비스는 2.7%, 집세는 0.8% 올랐다. 반면 관리물가인 공공서비스는 0.2% 하락했다.

기여도 측면에서는 공공서비스가 전년 0.2%포인트에서 0%포인트로 0.2%포인트 하락했고, 집세는 같은기간 0.2%포인트에서 0.1%포인트 내렸다. 반면 상품과 개인서비스는 각각 0.1%포인트와 1.0%포인트로 전년과 같았다.

한은 관계자는 “공공서비스물가가 정부의 교육과 의료 등 복지정책 강화 영향으로 상승률이 크게 낮아졌다. 집세도 입주물량 증가와 일부지역 주택경기 부진 등으로 상승세가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필립스곡선 모형을 통해 근원물가 변동요인을 분석한 결과도 같았다. 글로벌요인(전년 0%→올해 9월까지 0%)과 국내요인(1.4%→1.6%) 기여도에는 큰 변화가 없었기 때문이다. 반면 정부정책 등 기타요인(0.1%→-0.4%)은 근원물가 상승률을 상당폭 낮췄다.

한은 관계자는 “공공요금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에서 무상교육을 확대하고 있는 반면 최근 버스비와 택시비 인상 협상이 진행중이다. 반면 집세는 주택시장 상황과 입주물량 동향 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근원물가 흐름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커 추이를 지켜봐야할 것 같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자친구 살해' 20대 의대생 전격 구속
  • “지연아 고맙다” 남의 사랑에 환호하고 눈치 봤던 백상예술대상 [해시태그]
  • 전 세계 41개국에 꽂은 ‘K-깃발’…해외서 번 돈 6% 불과 [K-금융, 빛과 그림자 上]
  • 김수현부터 장윤정·박명수까지…부동산 '큰손' 스타들, 성공 사례만 있나? [이슈크래커]
  • 단독 이번엔 ‘갑질캐슬’?…KT와 공사비 갈등 중인 롯데건설, 하도급사에 ‘탄원서 내라’ 지시
  • 단독 다국어 자막 탑재 '스마트글라스'…올 상반기 영화관에 도입
  • "나는 숏폼 중독"…가장 많이 보는 건 유튜브 [데이터클립]
  • 로스트아크, 신규 지역 '인디고 섬' 추가…디아블로 신규직업 출시 外 [게임톡톡]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999,000
    • -2.18%
    • 이더리움
    • 4,213,000
    • -1.98%
    • 비트코인 캐시
    • 645,500
    • -5.28%
    • 리플
    • 733
    • -3.04%
    • 솔라나
    • 205,500
    • -4.55%
    • 에이다
    • 621
    • -1.9%
    • 이오스
    • 1,112
    • -2.8%
    • 트론
    • 171
    • +1.79%
    • 스텔라루멘
    • 152
    • -0.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450
    • -0.99%
    • 체인링크
    • 19,490
    • -4.18%
    • 샌드박스
    • 602
    • -2.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