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병원 빅데이터로 신약·서비스 개발…“2022년까지 일자리 3만5000개 창출”

입력 2018-02-09 10: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 발표

정부가 병원에 축적된 방대한 환자 정보를 활용해 신약과 헬스케어 서비스를 창출한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양질의 일자리 3만50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3면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에서 ‘바이오·헬스 업계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종근당, 대웅제약, 메디아나, 삼성서울병원, 한국바이오협회,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강원의료기기산업협회 등 업계와 관련 기관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이 사업 계획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경우 현재 1.2%에 불과한 세계 시장 점유율을 2022년까지 4.0%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기대했다.

정부는 우선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빅데이터 기반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 6개 병원을 선정해 약 1000만 명의 전자의무기록·유전체·생체정보를 담은 ‘보안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병원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통계자료)만을 수요 기업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빅데이터는 신약 후보 물질 발굴과 주요 질병 예측 등에 사용된다. 보안 핵심 기술인 바이오 데이터용 블록체인 기술도 개발한다.

고령자와 만성 질환자의 혈압, 혈당 등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를 실시간 관리하고 이상 징후를 예측하는 서비스도 시범 운영한다.

자동차, 통신, 정보기술(IT), 화장품 등 다른 산업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헬스케어 서비스를 창출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운전자 건강정보와 자동차를 연계해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자동차에서 경보를 울리거나 긴급 SOS 호출 기능을 하는 ‘카(Car) 헬스케어’, 노령자의 낙상 등 위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하는 ‘홈 헬스케어’, 피부 유형별 맞춤 화장품 등이 대표적 비즈니스 모델이다.

정부는 새로운 서비스 창출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해소하고 일정 기간 규제 없이 사업할 수 있는 ‘규제 샌드박스’ 내에서 개인 건강정보, 날씨, 환경 등 모든 생활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시범사업’을 2020년부터 추진한다.

세계적 수준의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글로벌 바이오스타’ 프로젝트를 추진, 기업의 신약 연구개발과 사업화, 해외 진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의료기기에서는 새로운 기능과 편의를 더한 ‘수요자 맞춤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인공지능(AI)·로봇·바이오 기술을 융합한 신개념 의료기기 개발도 지원한다. 아울러 지역별로 강점과 기존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 클러스터를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올해 지역별 바이오 클러스터 육성 전략을 마련한다.

한편,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장은 “올해 바이오 산업 주요 기업들의 투자 계획은 1조1400억 원에 이를 전망”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황재균·장성우 아닌 박상원이 사과…KT 감독 "고참으로서 역할 잘한 것"
  •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은 초등 3학년생 '금쪽이'…엄마 반응은?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423,000
    • -0.08%
    • 이더리움
    • 5,288,000
    • -0.92%
    • 비트코인 캐시
    • 683,000
    • +0.52%
    • 리플
    • 724
    • -0.69%
    • 솔라나
    • 235,200
    • -1.84%
    • 에이다
    • 633
    • -0.78%
    • 이오스
    • 1,090
    • -2.42%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600
    • -0.9%
    • 체인링크
    • 23,930
    • -2.8%
    • 샌드박스
    • 657
    • +0.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