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새차증후군 측정 관리 '국제 표준'으로 인정

입력 2017-11-20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토부 메뉴얼 국제기준치로 최종 채택…국산차 국제 경쟁력 강화에 도움

우리나라가 주도해온 신차 실내 공기 측정기준안이 국제 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 향후 국산차의 수출경쟁력이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국토부)는 제173차 '유엔 유럽경제위원회 자동차 기준 국제조화 회의(UNECE WP.29)'에서 우리나라가 주도해온 신차 실내 공기질 측정 기준이 '국제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고 20일 밝혔다.

한국은 '자동차 실내 공기질 전문가기술회의'의 의장국으로 각국 대표단과 세계자동차제작사협회 등과 함께 국제기준 제정 작업을 주도해 왔다. 전문가기술회의는 자동차 실내 공기질(Vehicle Interior Air Quality)과 관련한 국제기준 제정 논의를 위해 2015년 공식 결성된 전문가기술회의다.

이번에 제정된 국제표준은 새차증후군을 유발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유해물질에 대해 나라마다 다른 측정방법과 절차 등을 통일했다는데 의미가 크다. 새차증후군이란 신차의 실내내장재(시트, 천장재, 바닥재 등)에서 방출되는 벤젠 등 휘발성유기화합물(VOCs)로 인해 두통, 눈․피부의 따가움 등을 느끼는 현상을 말한다.

새 국제표준은 자동차 실내 공기질 평가와 관리 때 인체 유해물질 사용을 자제하고, 친환경 소재 사용을 장려하도록 하는 내용과 유해물질 샘플링, 분석 방법 등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신차 실내 공기질 관리기준은 나라마다 측정방법이 서로 다른 상태다. 그러나 이번 국제표준 제정으로 측정방법이 통일되면서 시험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나아가 상호 호환이 가능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국토부는 우리의 기준이 국제표준으로 최종 채택됨에 따라 향후 국내기준인 '신규제작자동차 실내 공기질 관리기준' 규정을 개정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국제표준 제정은 우리나라의 위상을 제고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운전환경을 제공할 것"이라며 "자동차 업계의 국제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출처=유엘닷컴)
(이미지 출처=유엘닷컴)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타강사 '삽자루' 우형철 씨 향년 59세로 사망
  • 하이브 "뉴진스 홀대? 사실무근…부모 앞세워 여론 호도하는 구태 멈춰야"
  • 단독 정부 지원받은 영화…청각장애인 위한 '한글자막' 제작 의무화
  • 변우석·장기용·주우재 모아놓은 ‘권문수 컬렉션’…홍석천 보석함급? [해시태그]
  • 승자독식 구도…계속되는 경영권 분쟁에 기업·주가 몸살
  • 수사·처벌 대신 '합의'…시간·비용 두 토끼 잡는다 [조정을 넘어 피해회복 '형사조정제도']
  • "중소 업체·지방사업장 다 떠내려간다"…건설업계 불만 고조[PF 연착륙 대책]
  • "뜯어보니 '6강·4약'" 프로야구, 선두권 각축전…KIA 1위 수성 가능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439,000
    • +0.79%
    • 이더리움
    • 4,104,000
    • +0.05%
    • 비트코인 캐시
    • 607,000
    • -0.16%
    • 리플
    • 700
    • -1.69%
    • 솔라나
    • 198,900
    • -2.74%
    • 에이다
    • 622
    • +0.48%
    • 이오스
    • 1,083
    • -1.72%
    • 트론
    • 177
    • -1.12%
    • 스텔라루멘
    • 145
    • -2.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500
    • -2.48%
    • 체인링크
    • 18,880
    • +0.27%
    • 샌드박스
    • 579
    • -2.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