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친환경 스마트공장’ 짓는다… 2022년까지 총 6000억 투입

입력 2017-09-27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존 대비 온실가스 및 에너지 비용 40% 절감…연간 생산능력 50% ↑

▲LG전자 창원1사업장 조감도.(사진제공=LG전자)
▲LG전자 창원1사업장 조감도.(사진제공=LG전자)
LG전자 생활가전 사업 메카인 창원사업장이 친환경 스마트공장으로 탈바꿈한다.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을 적용한 최첨단 생산시스템을 갖추고 글로벌 가전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겠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올해 말부터 2022년까지 총 6000억 원을 투자해 경남 창원시에 있는 창원1사업장을 친환경 스마트공장으로 탈바꿈시킨다고 27일 밝혔다.

2023년 초에 완공될 신공장은 2021년부터 순차적으로 가동에 들어가며 냉장고, 오븐, 정수기, 식기세척기 등 주방가전을 생산하게 된다. 신공장은 대지면적 25만6324㎡에 연면적 33만6000㎡ 규모다.

LG전자는 신공장을 ‘지능형 자율 공장’으로 만들어 프리미엄 대형 제품의 입지가 점차 커지는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지속적으로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또 스마트공장에 태양광 패널, ESS(에너지저장장치), 고효율 공조 시설 등 친환경 에너지 설비를 적용해 온실가스 및 에너지 비용을 기존 대비 40% 가량 절감할 계획이다. 스마트공장은 건물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에너지를 스스로 만들어내고, ESS에 저장해둔 에너지를 전기 요금이 비싼 시간에 사용해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인다.

이와 동시에 자연재해 등에도 끄덕 없을 정도로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사업장으로 변모시킬 계획이다.

LG전자는 창원사업장이 최첨단 연구개발 센터와 스마트공장을 모두 갖춘 LG 생활가전의 메카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15년 착공해 완공을 앞둔 ‘창원R&D센터’는 연면적 5만1810㎡에 지상 20층, 지하 2층 규모로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연구시설로는 가장 크다.

현재 창원1사업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최대 200만대다. 창원1사업장이 스마트공장으로 거듭난 후 연간 생산능력은 300만대 이상으로 기존 대비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LG전자는 창원1·2사업장에서 매년 250명 이상 신규 인력을 고용할 계획이다. 특히 R&D뿐 아니라 생산 분야에서도 지능형 설비 개발 및 제어를 중심으로 일자리의 질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날 서울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선 한경호 경남도지사 권한대행, 정구창 창원시 제1부시장, LG전자 H&A사업본부장 송대현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LG전자 창원사업장에 대한 투자 협약식이 열렸다.

경상남도와 창원시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LG전자 스마트공장에 대한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했다.

송대현 LG전자 H&A사업본부장(사장)은 “지속적인 투자로 창원사업장을 프리미엄 가전시장 공략을 위한 전초기지 및 지역 경제 발전의 견인차로 적극 육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812,000
    • -0.15%
    • 이더리움
    • 5,200,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665,000
    • -0.37%
    • 리플
    • 699
    • +0.43%
    • 솔라나
    • 225,400
    • +0.49%
    • 에이다
    • 618
    • +0.82%
    • 이오스
    • 994
    • +1.12%
    • 트론
    • 164
    • +2.5%
    • 스텔라루멘
    • 140
    • +2.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900
    • +1.01%
    • 체인링크
    • 22,540
    • +0.85%
    • 샌드박스
    • 586
    • +0.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