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0대 공공기관 총 자산 규모, 민간보다 커"

입력 2017-05-01 13: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산 기준 상위 10대 공공기관의 자산총합이 10대 민간기업 보다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일 '공공기관의 민간기능 위축 사업 분석과 시장경쟁의 중립성 개선방향'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15년 말을 기준으로 알리오(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에 공개된 316개 공공기관과 536 개 공공기관 자회사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을 기준 자산 규모 상위 10개 공공기관의 자산총액은 498조500억 원으로 상위 10개 민간기업 자산총액 496조3000억 원보다 많았다. 특히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자산은 약 169조7000억 원으로 삼성전자 168조9000억 원보다 자산 규모가 컸다.

또 공공기관 자산은 2007년 472조2000억 원에서 2015년 781조7000억 원으로 지난 8년간 309조5000억 원(약 66%) 증가했다.

김영신 한경연 연구위원은 “공공기관의 자산이 증가한 것은 새로운 공공수요가 발생한 것과 더불어 다양한 사업 확대와 부채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같은 기간 공공기관 수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공공기관과 공공기관의 자회사 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2007년 우리나라의 공공기관은 총 295개였지만, 2015년 말 21개 증가한 316개로 조사됐다. 이들 316개 공공기관 중 103개 기관은 자회사를 536개 소유하고 있었다.

김영신 연구위원은 “공공기관과 자회사가 자금조달이나 수익창출을 목적으로 사업을 다각화하면서 민간기업과 중복되거나 유사한 사업에 진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이는 기존 민간사업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최근 공공기관과 자회사들은 에너지, 교통과 같은 사회간접자본(SOC)사업 외에도 유통, 쇼핑, 식당, 보험, 임대업 등 다양한 분야에 새롭게 진출하고 있다고 김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공공기관과 자회사는 민간기업보다 인허가나 승인을 받기 쉽고 신용등급이 높아 낮은 이자율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우월한 위치에서 민간사업자와 경쟁할 수 있다”며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경쟁이 심화되면 시장기능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공기관이 신규 사업에 진출 할 경우 사전에 엄밀한 검토를 거치고 시장경쟁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원칙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면서, OECD 공기업 가이드라인 등을 참고해 우리 현실에 맞는 원칙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호중 소속사 대표 "운전자 바꿔치기 내가 지시"…김호중 대리 출석 녹취는?
  • 높아지는 대출문턱에 숨이 ‘턱’…신용점수 900점도 돈 빌리기 어렵다 [바늘구멍 대출문]
  • [노벨상 선진국 호주下] R&D 예산 GDP 0.5%인데…기초과학 강국 원동력은
  • AI 패권 도전한 日, 라인야후 사태 불 지폈다
  • 도마 오르는 임대차법, 개편 영향은?…"전세난 해소" vs "시장 불안 가중"
  • 中 본토 투자자 ‘거래 불가’…홍콩 가상자산 현물 ETF 약발 ‘뚝’
  • 동대문구 용두동 화재 하루 만에 진화…21시간 30분만
  • 거인군단 '안경 에이스' 박세웅에 내려진 특명 "4연패를 막아라"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16 13: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221,000
    • +5.09%
    • 이더리움
    • 4,165,000
    • +2.43%
    • 비트코인 캐시
    • 634,000
    • +4.88%
    • 리플
    • 716
    • +1.7%
    • 솔라나
    • 225,200
    • +11.71%
    • 에이다
    • 635
    • +5.13%
    • 이오스
    • 1,107
    • +3.85%
    • 트론
    • 173
    • -1.7%
    • 스텔라루멘
    • 148
    • +2.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000
    • +5.26%
    • 체인링크
    • 19,310
    • +6.57%
    • 샌드박스
    • 610
    • +5.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