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한국 단체 관광을 금지키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 결정에 따른 중국의 보복 조치가 심상치 않은 분위기이다. 관광객 중 절반이 중국인(유커)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같은 조치가 현실화할 경우 관광산업 위축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보복 조치가 한국산 불매운동 등으로 확산할 경우이다. 그나마 회복 조짐을 보이던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중국인의 씀씀이는 더 컸다. 이는 국제수지표상 여행수지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5년 여행수지는 100억5560만 달러(11조3778억 원) 적자를 기록한 상황에서도 중국 여행수지는 69억240만 달러(7조8100억 원) 흑자를 보였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으로부터 벌어들인 여행수입 152억1430만 달러(17조2148억 원) 중 61.3%인 93억2100만 달러(10조5252억 원)가 유커로부터 나왔다.
반면 중국 당국의 이번 조치로 유커 수는 연간 40%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실제 지난해 5월 대만 신임 총통 취임 이후 중국인의 대만 방문 규제 조치로 그해 8월과 9월 대만 방문 중국인 관광객 수는 전년 동월보다 각각 32%, 38% 감소한 바 있다. 하이투자증권과 노무라증권은 이 같은 사례를 들어 중국인의 한국 관광객 수가 연간 40%가량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경제여파 가늠키 힘들다 vs GDP 0.2%포인트 감소 그쳐 = 전문가들은 중국의 보복 조치로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다만 그 정도에 대해서는 당장 가늠키 어렵다는 반응이다.
우선 관광산업과 여행수지는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중국 당국의 이번 조치로 3월 중순부터 관광객 수요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중국 관광객 비중이 절반 가까이 되는 상황에서 아무래도 영향이 많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최정태 한은 국제수지팀장도 “영향이 전혀 없다고 말할 수 없다. 여행수지도 당연히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다만 얼마나 될지는 가늠하기 어려워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내수와 대중국 수출은 물론 인민은행의 채권투자자금 유출 등 금융시장 불안까지 우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내수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 관광객마저 들어오지 않는다면 국내 소비경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규제가 한국 관광이나 엔터테인먼트산업을 넘어 한국산 제품 불매운동으로 확산할 경우 그나마 회복세를 보이던 대중국 수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압박 수위가 높아지면 주식에도 긍정적일 수 없다. 특히 국내 채권에 투자한 중국 인민은행 자금 이탈이 가시화할 경우 금융시장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실제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2월 말 현재 중국의 국내 상장채권 보유금액은 17조5090억 원으로 미국(14조3900억원)을 제치고 1위에 올라선 바 있다.
다만 권영선 노무라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수출의 14%를 차지하는 소비재 수출은 영향을 받겠지만 중간재를 포함한 비소비재는 중국 제조 공급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관광객이 연 40% 줄더라도 한국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영향은 0.2%포인트에 불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