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 “올 상반기 수도권과 지방 매매시장 양극화 가속화 돼”

입력 2016-07-20 17: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감정원 KAB부동산연구원 채미옥 원장은 20일 한국 감정원 서울사무소에서 ‘2016년 상반기 부동산시장 동향 및 하반기 전망’에 대해 “전반적으로 매매 및 전세시장 상승폭이 둔화됐다”고 밝혔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주택 매매가격 상승폭은 주택과 아파트 모두 0.1%로 상승세는 지속됐지만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상승폭 둔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채 원장은 “올 상반기 주택 매매시장은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가 가속화되는 모습이었다”며 “강남 재건축시장을 중심으로 수도권은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지방은 대출심사 강화와 공급확대 및 조선업 발(發) 구조조정 여파로 하락세로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전세시장의 경우 매매가격의 상승폭이 축소되고 대구와 광주 등 전세가격 상승을 주도하던 지역에 입주물량이 증가하며 전체적인 상승폭이 축소됐다.

상반기 주택 및 아파트 전세가격은 각각 0.7%, 1.1% 오름폭을 보였지만 지난해보다 낮고 안정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지난해에는 수도권을 비롯해 대구와 광주, 제주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지만 올 상반기에는 제주지역만 상승세를 유지했다.

주택 매매거래량은 올 5월말 기준 총 37만5000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보다 25% 감소했다. 단 최근 5년 평균과는 유사한 수준에 머물렀다. 전월세 거래량은 63만3000건으로 이 중 전세와 월세 거래량 비중은 각각 54.0%, 46.0%를 기록했다. 전세거래량 비중은 전년 대비 1.8%p 감소했으며 월세는 1.8%p 증가했다.

단 올 하반기에는 지난해 말부터 주택가격이 조정국면에 들어가면서 거래량 감소 추세가 지속돼 전년 대비 23% 감소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한국감정원은 올 하반기 주택시장은 당분간 관망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일시적인 거래 부진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 하반기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0.3% 상승할 것으로 바라봤다.

전세시장 역시 향후 1~2년에 입주물량 증가가 에상되는 만큼 경기, 충남, 대구, 광주 등 상승폭 둔화되거나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한국감정원은 하반기 전국 주택전세가격 상승률은 0.5%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하반기 주택 매매시장은 대내외적 불안요소가 상존하지만 실수요자 매매전환 수요와 주요 관심지역 분양호조, 추경 등으로 소폭 상승할 것”이라며 “전세시장은 수도권 및 혁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입주물량이 늘어나면서 상승폭이 둔화되거나 하락세로 전환되는 지역이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 [내부통제 태풍]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480,000
    • -0.45%
    • 이더리움
    • 5,017,000
    • +2.37%
    • 비트코인 캐시
    • 547,000
    • -0.27%
    • 리플
    • 696
    • +0.72%
    • 솔라나
    • 190,200
    • -1.71%
    • 에이다
    • 541
    • +0.19%
    • 이오스
    • 803
    • +2.55%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2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00
    • +1.73%
    • 체인링크
    • 20,180
    • +3.12%
    • 샌드박스
    • 456
    • +3.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