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센트, 소프트뱅크서 ‘클래시 오브 클랜’ 슈퍼셀 인수 임박

입력 2016-06-16 07: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수 규모 90억 달러 넘을 듯…PC 게임 1위 LOL 이어 모바일 최고 게임도 손에 넣게 돼

▲텐센트가 소프트뱅크로부터 핀란드 모바일 게임업체 슈퍼셀을 인수하는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다고 15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사진은 슈퍼셀의 인기 게임 ‘클래시 오브 클랜’. 출처 클래시 오브 클랜 페이스북
▲텐센트가 소프트뱅크로부터 핀란드 모바일 게임업체 슈퍼셀을 인수하는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다고 15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사진은 슈퍼셀의 인기 게임 ‘클래시 오브 클랜’. 출처 클래시 오브 클랜 페이스북

중국 메이저 IT기업 텐센트가 인기 모바일 게임 ‘클래시 오브 클랜’으로 유명한 핀란드의 슈퍼셀 인수에 임박했다고 15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텐센트는 슈퍼셀 대주주인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터 다수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을 놓고 최종 협의 중이다. 인수에 필요한 자금 확보를 위해 텐센트는 몇몇 투자자들과 논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는 중국 베이징 소재 힐하우스캐피털그룹도 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인수 규모는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슈퍼셀 기업가치가 90억 달러(약 10조5600억원)로, 1년 전보다 70% 이상 뛰었기 때문에 이에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고 WSJ는 전했다.

소식통은 “이번 인수가 텐센트 사상 최대 규모가 될 것”이라며 “이르면 다음 주 인수 합의 소식이 공표될 것이나 재원 마련 등이 아직 장애물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소프트뱅크는 순부채가 800억 달러를 넘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해 슈퍼셀 지분 매각을 고려하고 있다. 소프트뱅크가 빚에 허덕이는 이유는 자회사인 미국 이동통신업체 스프린트 때문이다. 부채의 약 3분의 1이 스프린트와 관련 있다. 소프트뱅크는 지난달 부채 감축을 이유로 자사가 보유한 알리바바그룹 지분을 79억 달러 이상 매각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소프트뱅크는 지난 2013년 슈퍼셀 지분 51%를 15억3000만 달러에 인수했으며 지난해에는 지분율을 73%로 확대했다.

슈퍼셀의 부상은 모바일 게임산업의 급속한 성장을 상징한다고 WSJ는 전했다. 리서치업체 슈퍼데이터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스마트폰·태블릿 게임 시장규모는 302억 달러로, 컴퓨터 게임의 330억 달러에 육박했다. 콘솔 게임은 60억5000만 달러로 조사됐다.

텐센트가 슈퍼셀 인수에 성공하면 PC와 모바일 게임 모두에서 글로벌 리더 자리를 굳건히 다질 수 있다고 신문은 강조했다. 텐센트는 지난 2011년 인기 PC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LOL) 개발사인 라이엇게임즈 다수 지분을 확보했으며 지난해 말 라이엇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했다.

슈퍼데이터에 따르면 LOL은 지난해 16억3000만 달러 매출로 세계 PC 게임 1위에 올랐다. 모바일 게임 매출 1위는 바로 13억5000만 달러를 기록한 슈퍼셀의 ‘클래시 오브 클랜’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154,000
    • -2.23%
    • 이더리움
    • 4,950,000
    • -1.82%
    • 비트코인 캐시
    • 583,000
    • -4.66%
    • 리플
    • 708
    • +1.58%
    • 솔라나
    • 201,200
    • -2.09%
    • 에이다
    • 568
    • -3.57%
    • 이오스
    • 876
    • -6.31%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7
    • -2.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800
    • -4.57%
    • 체인링크
    • 20,120
    • -5.32%
    • 샌드박스
    • 492
    • -9.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