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1분기 7년래 최악의 투자금이탈…이유는?

입력 2016-04-21 11: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1분기 헤지펀드에서 150억 달러(약 17조원) 이상의 자금이 빠져나간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부진한 실적을 낸 가운데에서도 높은 수수료를 챙기는 헤지펀드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만이 자금이탈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20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헤지펀드 운용자산이 150억 달러 이상 줄어들었다. 이는 2009년 7년래 최악의 분기 자금이탈이다. 이로써 헤지펀드의 운용자산은 지난 4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순유출을 기록하게 됐다. 3월 말 기준으로 글로벌 헤지펀드 운용자산은 2조8600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처럼 헤지펀드의 자금이탈이 이어지는 이유는 최근 빌 애크먼 등 유명 헤지펀드 매니저의 ‘헛발질’등의 이유로 헤지펀드의 수익률이 저조한 가운데 높은 수수료는 그대로 이어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통상 헤지펀드는 운용수수료로 2%에 투자수익의 최대 20%를 보수로 가져간다. 하지만 시장조사업체 HFR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헤지펀드 수익률 지수는 0.7% 하락했다.

이에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의 이탈이 이어지고 있다. 뉴욕공무원퇴직연금펀드는 일찌감치 페리캐피털과 브리번하워드 등 헤지펀드로부터 15억 달러의 투자를 중단했고 뒤를 이어 캘리포니아공무원퇴직연금도 투자포트폴리오에서 헤지펀드 투자를 제외했다. 저유가도 헤지펀드 업계에는 악재가 됐다. 원유 수출에 의존도가 높은 산유국 국부펀드의 자금 회수도 헤지펀드 자금이탈에 원인이 됐다고 FT는 설명했다.

레티샤 제임스 뉴욕공무원연금 대변인은 “헤지펀드들이 수탁의무를 다하고 투자자들을 배려한다면 투자 수익에 대한 약속을 지키는 데 실패해놓고 그렇게 많은 수수료를 부과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그들의 여름별장과 전용기를 팔아서 투자자들에게 수수료를 돌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헤지펀드 투자 비중을 늘리는 곳도 있다. 핀란드의 국부펀드는 올해 헤지펀드에 5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고 일리노이주립대은퇴연금펀드(ISURS)는 처음으로 헤지펀드에 5억 달러를 투자했다. 일부 미국 보험사들도 수익성 개선을 위해 헤지펀드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20일)부터 병원·약국 갈 때 신분증 필수…"사진으로 찍은 신분증은 안 돼"
  • "죄송합니다" 콘서트 끝나자 음주운전 시인한 김호중…팬들 반응은?
  • 미국 “이란 대통령 헬기 추락 면밀히 주시”…러시아 “모든 지원 준비돼”
  • “높은 취업률 이유 있네”…조선 인재 육성 산실 ‘현대공업고등학교’ 가보니 [유비무환 K-조선]
  • ‘운영할수록 적자’ 대학병원 한계 임박…“정부 특단 대책 필요”
  • 대기업 대출 폭증한 시중은행…중기 기술신용대출은 ‘뚝↓’
  • [날씨] '일교차 주의' 전국 맑고 더워…서울·수도권 '출근길 비 소식'
  • 다꾸? 이젠 백꾸·신꾸까지…유행 넘어선 '꾸밈의 미학' [솔드아웃]
  • 오늘의 상승종목

  • 05.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111,000
    • -1.01%
    • 이더리움
    • 4,264,000
    • -1.68%
    • 비트코인 캐시
    • 673,500
    • +1.58%
    • 리플
    • 707
    • -2.35%
    • 솔라나
    • 236,400
    • -1.46%
    • 에이다
    • 649
    • -3.13%
    • 이오스
    • 1,091
    • -3.62%
    • 트론
    • 169
    • -1.17%
    • 스텔라루멘
    • 147
    • -2.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350
    • -2.06%
    • 체인링크
    • 22,970
    • +1.37%
    • 샌드박스
    • 592
    • -4.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