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배치에 中의 수입화장품 규제 역풍…화장품株 직격탄

입력 2016-03-03 16: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드배치(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에 대한 보복성 조치로 중국 정부가 수입화장품 규제 강화에 나섰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화장품 업체들의 주가가 직격탄을 맞았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달새 화장품업체들의 주가가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아모레퍼시픽은 1월말 40만5500원이던 주가가 이날 37만7500원으로 6.91% 떨어졌고, LG생활건강도 한달동안 11.20% 떨어졌다. 코스맥스, 한국콜마, 한국화장품제조도 각각 32.09%, 20.39%, 15.77% 추락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에서는 코리아나가 13.06% 떨어졌고, 콜마비앤에이치는 16.71%, 코스온 22.15%의 하락세를 보였다.

최근 화장품주의 약세는 사드의 국내 도입에 대해 중국이 강하게 반대의사를 표명하며 한중관계가 불편해졌기 때문이다. 중국은 수입화장품 규제 강화 카드를 꺼내 들었다. 전날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정부는 화장품 위생 감독 조례 수정을 통해 미백화장품을 비특수에서 특수 화장품으로 재분류했다. 또 최근에는 비특수 화장품인 주름개선 화장품에 대해서도 특수 화장품으로 재분류하는 방안을 검토중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부는 수입화장품에 대해 비특수(등록제), 특수(심사허가제)로 구분해 관리하고 있다. 비특수 화장품은 위생 허가 소요가 7개월, 특수화장품은 11개월가량으로 비특수에서 특수 화장품으로 재분류 됐다는 것은 그만큼 위생 허가받기가 까다로워졌다는 의미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화장품 기업의 강점이 주름개선과 미백 기능 제품에 있는데 까다로운 기준을 들이댄다는 것은 국내 화장품을 겨냥한 규제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중국 내 유통 규제 역시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국 개인 소비자는 해외 사이트에서 화장품을 직접 구매 시 특별한 제재가 없다. 하지만 향후에는 직구 등 온라인 구매에 규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 화장품의 최대 수출 시장으로 손꼽히는 중국 내 화장품 규제가 심해지면서 업계의 손실도 불가피해졌다. 지난해 2014년 화장품 수출 실적으로 중국이 약 6400억원으로 전체 수출액의 30%의 비중을 차지하며 높은 의존도를 보였다. 홍콩과 대만 등 중화권 국가 전체 비중으로는 60%가 넘어선다.

김영옥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화장품 업종의 주가 약세는 중국 내수 경기 둔화 우려와 미국 사드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적 보복 조치에 대한 우려에 따른 것”이라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 탕탕탕 후루루루루"…'마라탕후루' 챌린지 인기
  • “뚱뚱하면 빨리 죽어”…각종 질병 원인 되는 ‘비만’
  • "24일 서울역서 칼부림" 협박글에…경찰 추적 중
  • '음주 뺑소니' 김호중 구속될까…오늘 영장실질심사, 정오께 출석
  • 미국 증권위, 비트코인 이어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승인
  • 단독 우리금융, 여성 리더 육성 프로그램 2년 만에 되살린다
  • 지난해 가장 잘 팔린 아이스크림은?…매출액 1위 공개 [그래픽 스토리]
  • 금사과도, 무더위도, 항공기 비상착륙도…모두 '이상기후' 영향이라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5.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90,000
    • -0.75%
    • 이더리움
    • 5,284,000
    • +2.64%
    • 비트코인 캐시
    • 685,500
    • +0%
    • 리플
    • 737
    • +1.66%
    • 솔라나
    • 244,900
    • +0.7%
    • 에이다
    • 646
    • -3%
    • 이오스
    • 1,144
    • -1.89%
    • 트론
    • 161
    • -3.01%
    • 스텔라루멘
    • 152
    • -0.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500
    • -1.38%
    • 체인링크
    • 23,070
    • +2.62%
    • 샌드박스
    • 616
    • -2.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