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시점 안개 걷혔다…뉴욕증시 급등

입력 2015-11-19 08: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0월 FOMC 회의록서 연준 위원 대다수 “12월 금리인상 조건 충족”…뉴욕증시, 4주 만에 최대폭 상승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들이 매매에 열중하고 있다. 연준이 18일(현지시간) 공개한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이 금리인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점진적 인상을 시사하자 뉴욕증시가 이날 급등했다. 뉴욕/AP뉴시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들이 매매에 열중하고 있다. 연준이 18일(현지시간) 공개한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이 금리인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점진적 인상을 시사하자 뉴욕증시가 이날 급등했다. 뉴욕/AP뉴시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됐다. 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18일(현지시간) 공개한 지난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서 위원 대다수가 12월이면 미국 경제가 금리인상 조건을 충족할 것이라고 공감한 사실이 확인되자 그동안 시장을 짓눌렀던 불확실성의 공포가 사라졌다.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일제히 급등세로 화답했다.

회의록에 따르면 현재 경제 상황을 둘러싼 평가와 경제 활동, 고용시장, 인플레이션에 관한 전망 등에 따라 대부분의 참석자가 다음 회의 때까지 금리를 올릴 수 있는 조건이 충분히 갖춰질 것으로 예상했다. 또 연준 위원 대부분은 해외에서 발생하는 경제와 금융 상황의 부정적 영향이 사라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위원들은 당시 FOMC 성명에 ‘차기 회의에서 금리인상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는 문구의 포함 여부를 놓고 치열한 논쟁을 벌였지만 대부분이 넣는 데에 찬성했다. 다만 일부 위원은 해당 문구가 12월 금리인상에 대한 강한 기대를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또 회의록은 9년 만의 첫 금리인상 이후 금리를 올리는 속도가 완만하고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연준의 실무진은 미래 단기 금리전망 분석을 제시하면서 금리가 큰 폭으로 인상돼서는 안 되며 경기 개선에 따라 완만하게 올라야 한다고 제안했고 연준 위원들도 이에 동의했다.

회의록은 또한 미국 경제가 향후 새로운 충격에 직면하거나 다시 리세션(경기침체)에 빠지면 금리가 ‘제로(0)’ 근처로 되돌아올 가능성이 있음을 언급했다.

▲뉴욕증시 S&P500지수 추이. 18일 종가 2083.58. 출처 블룸버그
▲뉴욕증시 S&P500지수 추이. 18일 종가 2083.58. 출처 블룸버그

시장은 10월 FOMC 회의록 내용을 근거로 연준이 12월 금리인상을 기정사실화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연준이 점진적 금리인상을 강조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뉴욕증시의 다우지수는 1.42%, S&P500지수는 1.62%, 나스닥지수는 1.79% 각각 급등해 4주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ICE달러인덱스는 장중 99.853으로 7개월 만의 최고치를 경신했다. 달러인덱스는 지난 1개월간 6% 올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0:5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84,000
    • -0.97%
    • 이더리움
    • 5,229,000
    • -1.71%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31%
    • 리플
    • 727
    • -0.14%
    • 솔라나
    • 233,400
    • +0.21%
    • 에이다
    • 628
    • -1.1%
    • 이오스
    • 1,126
    • +0.36%
    • 트론
    • 156
    • +1.3%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300
    • -0.29%
    • 체인링크
    • 26,090
    • +2.47%
    • 샌드박스
    • 619
    • -0.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