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지스타 2015’서 스마트 TV·커브드 모니터 선보여

입력 2015-11-12 10: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스마트 TV로 게임 전시회 첫 참가해 체험부스 마련

삼성전자가 12일부터 15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인 ‘지스타 2015’에서 SUHD TV와 커브드 모니터를 전시한다.

삼성전자가 TV로 게임 전시회에 참가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차세대 게임 플랫폼으로 떠오르고 있는 스마트 TV를 알리고 새로운 비즈니스 파트너들을 적극적으로 만나기 위해 체험부스를 마련했다.

키즈룸ㆍ리빙룸ㆍ싱글룸으로 구성된 체험존에서는 TV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대형 화면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스마트 TV 게임의 매력을 선보인다. 체험부스를 방문하는 관람객들은 테트리스ㆍ모던컴뱃 5ㆍ리얼 풋볼 등 다양한 최신 게임들을 삼성 SUHD TV의 대형 화면을 통해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스마트 TV 전 라인업에 ‘타이젠’ 운영체제(OS)를 적용하고 게임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 43개국에서 제공되는 게임 서비스는 간단한 캐주얼 게임만 가능했던 과거와는 달리 역할 수행 게임(RPG)과 슈팅 게임(FPS)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을 선보이며 한 단계 진화했다.

특히 플레이스테이션(PS4) 등 대형 파트너들과 손잡고 콘솔 없이도 고품질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스마트 TV에서 제공하고 있다. 그 결과 삼성 스마트 TV의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수는 올해 초 100만명 수준에서 10월 기준 420만명을 넘어서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삼성 커브드 모니터 ‘SE590C’ 60대를 엔씨소프트 전시부스에 비치하고, 엔씨소프트가 새롭게 출시한 온라인 슈팅 액션게임 ‘마스터엑스마스터’의 퍼포먼스 영상을 시연해 부스를 찾은 게이머들의 많은 관심을 모았다.

삼성 커브드 모니터 SE590C는 눈에 보이지 않는 화면 깜빡임을 줄여주는 플리커-프리 기술과 눈에 피로한 블루 라이트를 감소 시켜주는 아이 세이버 모드 기능을 갖춰 장시간 게임에도 눈에 편안한 시청감과 뛰어난 몰입감을 제공한다.

김영찬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상무는 “게임은 스마트 TV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도구”라며 “세계 5대 게임 전시회 중 하나인 지스타 2015를 통해 대형 화면으로 게임을 즐기는 스마트 TV의 매력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3: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00,000
    • -0.68%
    • 이더리움
    • 5,248,000
    • -1.96%
    • 비트코인 캐시
    • 650,000
    • -0.76%
    • 리플
    • 731
    • -0.14%
    • 솔라나
    • 235,400
    • -0.8%
    • 에이다
    • 630
    • -1.56%
    • 이오스
    • 1,129
    • -0.27%
    • 트론
    • 154
    • +0%
    • 스텔라루멘
    • 149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850
    • -0.86%
    • 체인링크
    • 25,880
    • +1.57%
    • 샌드박스
    • 623
    • -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