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 종합] 코스피 코스닥 동반 상승…中증시불안 잠재운 남북협상 타결

입력 2015-08-25 16: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와 코스닥이 각각 7거래일 만에 상승 마감했다. 중국발 증시불안이 지속된 반면 남북 군사적 대립이 해소되면서 투자심리도 모처럼 활기를 되찾았다.

25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6.82포인트(+0.92%) 상승한 1846.64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 상승 마감은 7거래일 만이다.

이날 새벽, 남북한 고위급 회담이 극적으로 타결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장 초반 긍정적 투자심리가 강하게 유입됐다.

중국 증시불안에 대한 우려가 뒤섞이면서 급락과 급등을 반복하기도 했지만 이내 상승 동력을 찾았다. 오전 한때 장중 1806선까지 지수가 하락했지만 시총 상위종목의 상승세가 전체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최근 국내 증시 폭락이 '중국발 리스크'보다는 '대북 긴장상황' 때문이었다는 분석도 뒤를 이었다. 장 마감을 앞두고 중국 상하이지수가 6.5% 폭락세를 보인다는 소식이 전해졌지만 지수는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날 코스피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3037억원과 2140억원 순매수를 기록한 반면 외국인은 5287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프로그램 매매 역시 2317억원 순매도세로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의약품과 의료정밀, 운수장비가 4% 안팎의 상승세를 기록한 반면 통신업이 3% 이상 하락했고 금융업도 1% 안팎의 약세였다. 시총 상위종목 역시 SK텔레콤(-3.64%)과 신한지주(-0.12%)가 하락세를 보였다. 나머지 상위 종목 대부분이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은 대한방직과 한국주철관 등 2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하며 총 693종목이 상승했다. 반면 하한가 없이 145종목이 전거래일 대비 주가가 내렸다.

코스닥 역시 7거래일 만에 상승했다. 이날 코스닥은 전날보다 32.10포인트(5.23%)상승한 645.43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38억원 476억원 매수우위를 보인 반면 개인은 760억원 매도 우위를 보이며 지수 상승에 발목을 잡고 있다.

전업종이 상승 마감하는 모습도 보였다. 특히 제약업종과 섬유의류가 8%대 상승 마감했고 화학( 6.49%)의 상승세도 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도 대부분 상승했다. 셀트리온이 14.26% 상승하며 대장주 자리를 되찾았다. 다음카카오도 3.47% 상승했으며 동서 2.31%, CJ E&M 4.95%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30,000
    • +0.01%
    • 이더리움
    • 5,217,000
    • +0.35%
    • 비트코인 캐시
    • 666,000
    • -0.15%
    • 리플
    • 700
    • +0.29%
    • 솔라나
    • 228,100
    • +2.15%
    • 에이다
    • 625
    • +1.63%
    • 이오스
    • 1,000
    • +0.81%
    • 트론
    • 165
    • +1.85%
    • 스텔라루멘
    • 141
    • +1.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250
    • +1.2%
    • 체인링크
    • 22,940
    • +2.27%
    • 샌드박스
    • 593
    • +2.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