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 앞두고 터진 北목함지뢰 사건, 남북관계 안개 속

입력 2015-08-10 09:47 수정 2015-08-10 10: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광복 70주년을 목전에 두고 터진 북한의 ‘목함지뢰’ 사건이 남북 관계 최대의 걸림돌로 떠올랐다.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면서 8.15광복절을 계기로 남북관계에 돌파구가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도 무너지게 생겼다.

정치권에선 박근혜 대통령이 8·15 경축사를 통해 남북 간 보다 유연한 관계를 천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북한의 핵실험과 각종 도발에도 불구하고 관계 개선을 위한 목소리가 많은데다 광복 70주년이 갖는 의미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이 비무장지대(DMZ)에 살상용 목함지뢰를 매설하는 신종 도발을 감행하면서 남북 화해 가능성이 다시 낮아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북한은 최전방 지역인 경기 연천군 DMZ 철책 통문(폭 1.5m) 바닥에 목함지뢰 3개를 매설했고, 우리 육군 1사단 수색대대가 수색작전을 펼치는 과정에서 하모(21) 하사가 두 다리를 잃는 데 이어 하 하사를 구해 후송하려던 김모(23) 하사도 지뢰를 밟아 오른쪽 발목을 잃었다. 이곳은 2000년 6월에도 DMZ 수색정찰작전 중 지뢰 폭발로 육군 1사단 수색대대장과 후임 대대장 등 2명이 두 다리를 잃고 중대장이 다리에 관통상을 입었던 곳이기도 하다.

특히 이번 사건에 대해 우리군 역시 강력한 대응을 천명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선 북한이 오는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에 즈음해 최근 증개축을 마무리한 동창리 발사대에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까지 제기되고 있다.

여러 모로 남북관계가 가시밭길을 예고하고 있다.

목함지뢰 사건을 계기로 비무장지대에서의 모든 지뢰제거를 위해 남북이 동시에 오타와협약에 가입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사업을 위해서도 필요한 부분이다.

다만, 남북 군사적 긴장관계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 지금의 상황에서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지적이 많다. 동맹국인 미국은 물론 중국, 러시아, 이란, 인도, 파키스탄 등도 협약에 가입하지 않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 [내부통제 태풍]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단독 낸드 차세대 시장 연다… 삼성전자, 하반기 9세대 탑재 SSD 신제품 출시
  • [날씨] '낮 최고 35도' 서울 찜통더위 이어져…제주는 시간당 30㎜ 장대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12: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25,000
    • -0.33%
    • 이더리움
    • 5,004,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550,000
    • -1.17%
    • 리플
    • 695
    • -0.57%
    • 솔라나
    • 188,500
    • -3.92%
    • 에이다
    • 544
    • -1.45%
    • 이오스
    • 807
    • +0.88%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2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00
    • -0.4%
    • 체인링크
    • 20,230
    • +1%
    • 샌드박스
    • 457
    • +1.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