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전문가들이 꼽은 최대 금융리스크 ‘가계부채’

입력 2015-06-01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외 금융전문가들이 꼽은 우리나라의 금융시스템 최대 위험요인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계부채’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은 1일 ‘시스테믹 리스크 서베이 결과’ 자료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한은은 우리나라의 핵심적인 금융시스템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4월 27일부터 5월 8일까지 국내외 71개 금융기관의 전문가 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우리나라의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요인은 66%의 응답비중을 기록한 가계부채로 나타났다. 특히 직전 조사(2014년 9월)에서 가계부채 리스크는 67%를 기록해 이번에 1%포인트 하락했으나 순위는 2위에서 1위로 껑충 뛰었다.

▲출처: 한국은행

여기서 응답비중은 복수응답을 기준으로 응답자별로 5개 리스크를 선별하도록 한 후 각 위험요인별 응답 합계를 응답자 수(82명)로 나누어 계산했다. 또 응답비중이 50% 이상이면 주요 위험으로 간주하도록 했다.

다음으로 우려된 금융시스템 위험요인은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64%)였으며 중국 경기 둔화(60%), 미국의 금리 정상화(60%) 등이 뒤를 이었다.

주요 위험요인은 이전의 3개에서 이번엔 4개로 늘었다. 저성장 저물가 기조의 고착화 문제가 새로이 부상했기 때문이다.

또 미국 통화정책 관련한 이슈가 지난 조사에서 가장 리스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으나 이번에는 4위로 밀린 것도 눈에 띈다.

발생 시계에 대한 조사결과를 보면 ‘가계부채 문제’,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 ‘중국 경기 둔화’는 중기(1~3년 사이) 리스크로, 미국의 금리 정상화는 단기(1년 이내) 리스크로 인식했다.

영향력 및 발생 가능성을 보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은 주요 리스크 모두 큰 것으로 인식됐으나 발생 가능성은 다소 상이했다. 가계부채 문제, 미국의 금리 정상화 등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 ‘중국 경기 둔화’ 등은 발생 가능성이 중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미국 금리 정상화 리스크를 ‘발등에 떨어진 불’로 인식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앞서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지난달 말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출처: 한국은행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인 가구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소통 프로그램 '건강한 밥상' [십분청년백서]
  • 서울에는 김밥·구미에는 라면…주말 분식 축제 [그래픽 스토리]
  • 삼성전자 반도체 이익 40% 줄었지만… 메모리 선방ㆍHBM 희망 봤다
  • “금투세, 폐지 대신 공제 늘리자”…野 ‘절충 법안’ 속속 발의 [관심法]
  • 尹, 北ICBM 발사에 "강력 대응"…고체연료 주요 부품 北 수출 금지[종합2보]
  • '나는 솔로' 제작진, 23기 출연자 논란에 "시청자 불편함 없도록 조치할 것"
  • 9월 전국 주택 인허가·착공 하락세… ‘악성 미분양’은 증가
  • LA 다저스, 뉴욕 양키스 꺾고 역대 8번째 월드시리즈 우승
  • 오늘의 상승종목

  • 10.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297,000
    • -2.27%
    • 이더리움
    • 3,516,000
    • -4.97%
    • 비트코인 캐시
    • 499,000
    • -3.11%
    • 리플
    • 713
    • -2.06%
    • 솔라나
    • 236,300
    • -3.08%
    • 에이다
    • 478
    • -3.24%
    • 이오스
    • 617
    • -4.04%
    • 트론
    • 235
    • -0.42%
    • 스텔라루멘
    • 129
    • -3.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700
    • +3.49%
    • 체인링크
    • 15,920
    • -7.87%
    • 샌드박스
    • 340
    • -5.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