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냉전시대] ④‘미들파워’들의 반란… ‘개혁 사령관’ 모디 총리 나서자 G2 적극 구애

입력 2015-05-28 11: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도, 中 220억·美 40억 달러 투자… 日, 미국 등에 업고 中 견제 안간힘… 한국, 멕시코 등 5개국 외교장관회의

▲나렌드라 모디(왼쪽) 인도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현지시간) 시안에서 정상회담을 하기 전 모인 기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시안/AP뉴시스
한국과 인도, 일본 등 지정학적 ‘균형의 추’ 역할을 하게 될 ‘미들파워(Middle Power)’에 신냉전 당사국인 미국과 중국의 구애가 이어지고 있다. ‘미들파워’는 강대국과 약소국의 중간 위치에 있는 중진국이다. ‘슈퍼파워’는 아니지만 국제사회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국가들이 바로 ‘미들파워’다. 일본도 경제적으로는 충분히 강대국의 위치에 있지만, 외교적으로는 미들파워 노선을 걸으면서 아시아의 다른 나라와 연계를 강화하려 한다는 평가다.

미들파워에 대한 신냉전 당사국들의 구애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는 바로 인도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중국을 방문했던 지난 16일(현지시간) 상하이에서는 220억 달러(약 24조원)에 달하는 중국-인도 경제협력 협정이 체결됐다. 또 모디 총리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고향인 시안에서 시 주석과 회동하고 베이징에서는 리커창 총리를 만나는 등 중국 측의 극진한 대접을 받았다. 50여 년간의 국경분쟁으로 여전히 껄끄러운 사이이지만 양국 모두 실리가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월 인도를 방문해 40억 달러 투자 약속을 하는가 하면,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모디 총리를 ‘2015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중 한 명으로 꼽자 직접 모디에 대한 글을 쓰면서 ‘인도의 개혁 사령관’이라고 치켜세우기도 했다.

인도가 주요 2개국(G2:미국ㆍ중국)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아니다. 모디 총리는 지난해 11월 동아시아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동방정책(Act East Policy)’을 천명했으며 이에 따라 동아시아의 핵심국가인 일본과 한국, 베트남, 호주 등과 더욱 돈독한 관계 맺기에 나서고 있다. 모디 총리가 이달 중국에 이어 몽골과 한국을 방문한 것도 ‘동방정책’의 일환이라는 평가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1일(현지시간) 도쿄에서 열린 ‘아시아의 미래’ 국제교류회의에서 인프라 투자 확대를 약속하고 있다. 도쿄/AP뉴시스
일본은 미국을 등에 업고 아시아 최대 라이벌인 중국 견제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동중국해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중국의 세력이 확장되는 것은 일본으로서는 가장 껄끄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2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아시아의 미래’ 회의에서 “2016~2020년 아시아에 대한 인프라 대출을 1100억 달러로, 그 이전 5년간보다 30%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이 미국과 더불어 대주주인 아시아개발은행(ADB)과의 제휴도 강화할 방침이라고 아베 총리는 전했다. 일본 국제협력기구(JCIA)와 ADB가 공동으로 투자할 만한 아시아 민간기업을 찾아 융자도 같이 하겠다는 계획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ADB를 핵심으로 한 일본의 자금 지원은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을 강하게 의식한 것”이라며 “아베 총리는 직접적으로 중국을 지칭하지는 않았지만 투자 규모뿐 아니라 환경과 인재육성을 배려한 ‘질 높은 투자’가 중요하다는 말을 강조하면서 중국과의 차별화를 꾀했다”고 분석했다.

아베가 지난달 말 8일간 미국을 방문하면서 국빈방문은 아니지만 사실상 그에 준하는 최고 수준의 의전과 대접을 받은 것도 일본의 중국 견제에 대한 미국 측의 기대를 반영한 것이다.

▲윤병세(가운데) 외교부 장관이 지난 21일 서울 한남동에서 열린 ‘믹타(MIKTA)’외교장관 초청 만찬에서 참가국 외교장관들과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한국도 지난 22일 서울에서 우리나라를 비롯해 멕시코와 인도네시아, 터키, 호주 등 5개국으로 구성된 중진국의 모임인 ‘믹타(MIKTA)’의 제5차 외교장관 회의를 갖는 등 글로벌 외교무대에서 영향력 확대에 나서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장관들은 정치적 모멘텀 강화를 위해 연내 5개국 정상회의를 여는 방안을 검토하고 테러와 사이버 안보, 핵 비확산 등 글로벌 이슈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황재균·장성우 아닌 박상원이 사과…KT 감독 "고참으로서 역할 잘한 것"
  •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은 초등 3학년생 '금쪽이'…엄마 반응은?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396,000
    • -0.13%
    • 이더리움
    • 5,290,000
    • -0.69%
    • 비트코인 캐시
    • 687,000
    • +0.73%
    • 리플
    • 724
    • -0.55%
    • 솔라나
    • 236,900
    • -1.41%
    • 에이다
    • 635
    • -0.63%
    • 이오스
    • 1,093
    • -2.24%
    • 트론
    • 160
    • +0.63%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300
    • -1.36%
    • 체인링크
    • 24,140
    • -1.71%
    • 샌드박스
    • 654
    • +0.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