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4월 5일 植松望亭(식송망정) 소나무를 심으며 정자를 생각한다

입력 2015-04-05 08: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하루 한 생각] 4월 5일 植松望亭(식송망정)

소나무를 심으며 정자를 생각한다

임철순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한문의 묘미는 해석이 다양한 점이다. 띄어쓰기와 구두점이 없으니 정반대로 풀이되는 경우도 있다. 춘한노건(春寒老健)은 ‘봄추위와 노인의 건강은 오래가지 못한다’는 뜻이지만, ‘봄추위에도 노인은 건강하다’고 새기지 못할 것도 없다.

1910년 경술국치 당시 일제의 조선 병합조약 문서에 내무대신 김윤식(金允植·1835~1922)이 不可不可(불가불가)라고 썼다. ‘안 되오 안 되오’ 하고 결사 반대한 건가? 그게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찬성’[不可不 可]이라고 읽을 수도 있다. ‘불가하다고 함은 불가하오’[不可 不可]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식송망정(植松望亭)이라는 말을 따져보자. 문자 그대로는 ‘소나무를 심고 정자를 바란다’는 뜻이다. 다른 나무보다 성장이 더딘 소나무를 이제 심었는데 언제 정자를 지으랴! “우물에 가 숭늉 찾는다”는 속담처럼 몹시 성급하거나 앞날의 성공을 이루기 어렵다는 뜻이다. 소나무가 자라는 걸 볼 수 없을 만큼 짧은 우리네 인생을 한탄하는 말일 수도 있다.

그런데 ‘소나무를 심으며 정자 지을 생각까지 하라’고 해석하면 어떨까. 작은 일을 하면서 먼 장래를 내다보는 원대한 계획이라는 뜻이 된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이런 해석이 더 좋을 것이다.

같은 말이지만 ‘송남잡지’(松南雜識)에는 재송망정(栽松望亭)이라 돼 있다. ‘동언고략’(東言考略)에는 양송견정자(養松見亭子)라고 나온다. ‘소나무를 길러 정자를 본다’는 뜻이다. 송남잡지는 조선 후기에 조재삼이 편찬한 유서(類書)이며 동언고략은 우리말의 어원을 풀이한 조선 말기의 한문 서적이다. 박경가(朴慶家)가 지었다는 설이 있다.

오늘은 식목일이며 청명. 실제로 나무를 심지 못하더라도 그 정성과 자세를 생각해 보자. 정송오죽(淨松汚竹), 깨끗한 땅에는 소나무를 심고 지저분한 땅에는 대나무를 심는다고 했다. fusedtree@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4 스타벅스 여름 e-프리퀀시', 겟하는 방법 [그래픽 스토리]
  • 뉴진스 안무가도 "이건 뭐 죄다 복붙"…아일릿 저격
  • 알리·테무의 공습…싼값에 샀다가 뒤통수 맞는다고? [이슈크래커]
  • 애플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 프로' 내달 한국 출시
  • 장원영 향한 악의적 비방…'탈덕수용소' 결국 재판행
  • 스승의날 고민 끝…2024 스승의날 문구·인사말 총정리
  • '10억 로또' 래미안 원펜타스 분양일정 드디어 떴다…7월 중 예정
  • 금감원, 홍콩 ELS 분조위 결과...배상비율 30~65% 결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175,000
    • -2.13%
    • 이더리움
    • 4,051,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606,000
    • -1.94%
    • 리플
    • 708
    • +0%
    • 솔라나
    • 201,000
    • -2.95%
    • 에이다
    • 604
    • -1.79%
    • 이오스
    • 1,073
    • -1.2%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44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650
    • -2.9%
    • 체인링크
    • 18,290
    • -2.76%
    • 샌드박스
    • 576
    • -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