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SSAT 응시자 제한…매년 수백억 사회적 비용줄인다

입력 2014-11-05 10:51 수정 2014-11-05 13: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직무적합성평가 통과해야 응시 자격 주어져

삼성이 채용제도를 전면 개편한 이유는 SSAT(삼성직무적성검사)로 대표되는 삼성의 공개채용 방식이 매년 막대한 경제·사회적 비용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한 직무 역량을 보다 심층적으로 평가해 창의적이고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

삼성은 내년 하반기부터 새로운 대졸 신입사원 채용방식을 적용한다고 5일 밝혔다.

채용방식 개편의 골자는 SSAT 응시를 제한한 점이다. 삼성은 다양한 직군별 직무역량 평가를 위해 SSAT에 앞서 ‘직무적합성평가’를 도입하기로 했다. 앞으로 직무적합성평가를 통과한 지원자만이 SSAT를 응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995년부터 SSAT와 면접 2단계로 진행됐던 삼성의 채용제도가 20여년 만에 전면 개편됐다.

이 같은 SSAT 응시자 제한은 상하반기 두 번 진행되는 SSAT에 매년 20만명의 지원자가 몰리며 수백억원의 경제·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삼성과 시험을 준비하는 취업준비생 모두에게 해당된다. 실제로 SSAT를 치르려는 취업준비생들로 수험서와 관련 학원 등 사교육 시장이 팽창,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삼성은 SSAT 응시 인원을 지금의 20만명 수준에서 크게 줄이는 한편 지원자의 직무 역량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이준 삼성 미래전략실 커뮤니케이션팀장(전무)은 이날 브리핑에서 “미래 경영환경의 변화와 글로벌 주요 기업들의 사례, 입사 후 우수 직원들의 업무성과 요인 등을 분석한 결과 직군별 성과요인에 차이가 있었던 만큼 직군별로 다양한 채용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직무적합성평가에서는 직군별로 필요한 직무역량 중심으로 평가한다. 출신대학 등 직무와 무관한 스펙은 반영하지 않는다. 삼성이 직무적합성평가를 서류전형이라고 칭하지 않는 이유다. 연구개발(R&D)ㆍ기술ㆍ소프트웨어(SW)직군은 전공능력, 영업ㆍ경영지원직군은 직무적성 위주로 평가한다.

이준 팀장은 “다른 기업들의 서류전형과 같이 출신 대학 성적표 및 4년 동안 이수한 학점을 제출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인 서류전형이라고 말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SSAT에도 직군별 특성이 반영된다. 삼성은 연구개발ㆍ기술직군의 경우 전공을 충실히 이수한 지원자에게 상당한 가점을 부여해 SSAT의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소프트웨어직군은 SSAT 대신 ‘소프트웨어 역량테스트’를 도입해 프로그래밍 개발능력(코딩+알고리즘)이 우수한 지원자를 선발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일주일만 팝니다"…유병자보험 출시 행렬에 '떴다방' 영업 재개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0: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795,000
    • -1.04%
    • 이더리움
    • 5,218,000
    • -2.12%
    • 비트코인 캐시
    • 645,000
    • -0.77%
    • 리플
    • 727
    • -0.27%
    • 솔라나
    • 233,400
    • +0.13%
    • 에이다
    • 626
    • -1.42%
    • 이오스
    • 1,122
    • -0.09%
    • 트론
    • 156
    • +1.96%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000
    • -1.32%
    • 체인링크
    • 25,660
    • +0.79%
    • 샌드박스
    • 616
    • -0.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