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은 10일 BNK금융지주에 대해 “디지털타워 매각이익 반영으로 3분기 대규모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만4000원을 유지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BNK금융이 강남권 BNK디지털타워 매각을 마무리하면서, 연간 순이익은 8350억원에 이를 전망”이라며 “일회성 요인이지만 자본비율 개선과 배당 확대 여력을 동시에
비이자이익 개선·고객 1200만 돌파출범 후 최대 실적 기록
토스뱅크가 올해 1분기 187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7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2% 증가한 수치로 출범 이후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이다.
토스뱅크는 올해 1분기 순이자이익 2045억 원, 비이자수익 372억 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순이자마진(NIM
은행권 지원금 2조 원 달할 듯⋯'이자장사' 비난 여론 의식
국내 주요 시중은행들이 지난해 사회공헌 활동에 투입한 금액이 1조5000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기조 속에서 막대한 이자이익을 거둔 은행권이 사회적 책임에 대응해 상생금융 강화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28일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과 각 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2
수익성ㆍ자본효율성 모두 개선이자이익 감소, 비이자이익 증가
올해 1분기 국내 은행이 7조 원에 육박하는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발생한 파생결합증권(ELS) 대규모 배상금의 기저효과가 수익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2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총 6
상장 철회 5개월만 재도전인터넷 전문은행 3사 중 '나홀로 역성장'실적 안정성·성장 가능성 입증 숙제
인터넷 전문은행 케이뱅크가 사실상 마지막 기업공개(IPO)에 나섰다. 올해 초 상장을 최종 철회한 지 5개월이 채 되기도 전이다. 다만 케이뱅크의 실적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에 의구심을 갖는 시각이 여전해 이번 IPO 과정도 험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2
SC제일은행은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1119억 원으로 전년 동기(408억 원) 대비 711억 원(174.3%)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의 배상 추정액(1329억 원)을 일회성 영업외비용으로 인식했던 것이 당기 실적에 기저효과로 작용한데 따른 것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366억 원으로 전년 동기(1
케뱅, 이자 비용 상승 여파에 당기순익 68%↓카뱅, 비이자수익 확대로 분기 기준 최대 실적
1분기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이자수익 감소’라는 공통 과제에 직면했지만, 실적 희비는 엇갈렸다. 케이뱅크는 이자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한 반면 카카오뱅크는 비이자수익 급증에 힘입어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수익 구조 다변화 여부가 실적 격차로
고객 수 32% 급증…여수신 흑자 기조 유지연체율 0.66% '3년 만에 최저'⋯전년比 0.29%p↓
케이뱅크가 올해 1분기에 161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507억 원) 대비 68.24% 감소한 실적이다. 가계 대출이 제한된 가운데 수신 잔액이 늘며 이자 비용이 늘어난 영향이다.
이자이익은 1085억원을 기록하며
대신증권이 한국금융지주에 대해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예상보다 강한 이익 모멘텀을 입증했다며 목표주가를 상향했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15일 이같은 이유로 한국금융지주의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20% 상향한 12만 원으로 조정했다. 전날 종가는 8만9000원이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으며 업종 내 최선호주로 재확인했다.
박혜진 대신
신한투자증권은 7일 카카오뱅크에 대해 “약화한 이자이익 기반을 자산운용 확대와 개인사업자 대출 성장으로 만회하고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 원을 유지했다. 전날 종가는 2만3300원이다.
카카오뱅크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13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6% 증가했다. 이는 신한투자증권 추정치와 컨센서스를 각각 8.8%, 7.3%
은행권 역대급 실적과 맞물려 거센 비판가산금리 손질, 대주주 금지행위 확대 추진상생금융 압박⋯"민간금융 자율성 침해 우려"
금융사에서 잇따라 발생한 횡령 사고가 정치권의 규제 논리를 자극하는 빌미가 되고 있다. 특히 주요 시중은행에서 수십~수백억 원대의 횡령 사고가 반복되자 규제 강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여기에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상생
농협금융지주는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714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7%(692억 원) 증가했다고 30일 밝혔다.
이자이익은 감소했으나 비이자이익이 큰 폭으로 늘며 실적을 견인했다. 유가증권 손익은 시장 상황 악화로 줄었지만, 은행과 증권 등 주요 계열사를 중심으로 방카슈랑스, 전자금융, 투자금융 관련 수수료 이익이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
올해 1분기 평균 NIM 1.56%지난해 동기 대비 0.08%p 하락중기·자영업자 대출문턱 높아질 우려은행권 "조달비용 관리, 적극 방어"
국내 주요 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이 일제히 하락했다. 기여도가 큰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가 역대 최대로 벌어졌지만 수익성에 외려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
금융그룹 증권사 영업익 1년 전보다 소폭 줄어브로커리지 수익 줄고 IB 부문 수익도 부진
올해 첫 성적표를 받은 5대 금융그룹 계열 증권사의 실적이 1년 전보다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정부발 관세 충격으로 증시가 약세를 보이면서 위탁매매(브로커리지) 수익이 감소했고 기업금융(IB) 부문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내지 못한 영향이 컸다.
28일
'DGB→iM' 변경 후 첫 실적발표1분기 순이익 시장 기대치 웃돌아 iM증권 흑자전환…iM뱅크 4.7%↑
iM금융그룹은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1117억 원 대비 38.1% 증가한 1543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1분기 호실적은 전 계열사에 걸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대규모 대손충당금 적립 요인이 사라진 것이 견
콘퍼런스콜 "부동산 PF 충당금 불확실성은 제거기업대출 연체율 상승 리스크 관리 집중"
BNK금융그룹의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33.2%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 여신 확대에 따른 대손비용 증가 영향이 컸다. BNK금융 이사회는 이날 주당 120원의 현금 배당 실시를 결정했다.
25일 BNK금융에 따르면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이
이자이익 견조한 성장세…비이자이익 전년 동기 대비 2.0%↑컨콜서 "보험사 인수시 자산 건전성 최우선 목표" 강조
우리금융그룹은 올해 1분기 6156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기간 보다 25.29% 감소한 규모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 등 그룹의 수익 창출력은 안정적인 증가세를 이어갔다. 저비용성 예금 증가 등의 결과로
콘퍼런스콜 "SKT 지분 정리 계획 없어...협력 유지""제4인뱅 컨소시엄 참여로 소호 영업기반 넓힐 것"
하나금융그룹의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보다 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수료 이익이 증가한 영향이다. 하나금융은 이날 주당 906원 분기 현금배당 실시를 결의했다.
25일 하나금융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보통주자본비율 0.26%p 개선주당 120원 현금 배당 실시
BNK금융그룹은 실적공시를 통해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이 1666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29억 원(-33.2%) 줄어든 수준이다. 실적이 악화한 데에는 이자이익 감소 및 대손비용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부실 여신 증가로 인해 그룹 충당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