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A 2014]삼성전자-LG전자, 스마트홈 시장 선점 경쟁… 독일서‘격돌’

입력 2014-09-03 22: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전자 수원사업장에서 모델이 스마트폰과 냉장고를 '삼성 스마트홈' 기능으로 연결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스마트홈 경쟁을 벌이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독일에서 한판 승부를 펼친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5일(현지시간)부터 10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14에서 스마트홈 서비스를 각각 공개한다. 업그레이드 된 서비스는 물론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관계도 과시하며 시장 선점을 향한 보폭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세이프티 서비스 △에너지 모니터링 △위치 인식 △음성 제어 등 새로운 기능을 갖춘 ‘삼성 스마트홈’을 선보인다. 신규 기능인 ‘위치인식 기반 자동화’는 자동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해 집에 가까이 왔을 때 기기를 작동하는 서비스다. 또 ‘스마트 플러그’는 일반 콘센트를 대체할 수 있는 제품으로, 스마트플러그에 가전 전원을 연결하면 외부에서도 켜고 끌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홈 시스템이 자사 제품 뿐 아니라 도어락, IP카메라, 스마트 플러그 등 다른 제품과도 연동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이 중 세이프티 서비스는 사용자가 집을 비운 사이 현관의 도어락이 열리면 등록된 가족의 스마트폰으로 알림을 전달하고, IP카메라를 통해 집안을 살필 수 있는 일종의 무인 경비시스템이다.

▲LG전자 스마트홈 개념도(사진제공=LG전자)
LG전자는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 기존 스마트 생활가전 중심에서 로봇청소기, 스마트 조명, 무선 멀티룸 오디오 등으로 서비스 대상기기를 대폭 확대한다.

해외 기업과의 협력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LG전자는 미국 스마트 온도 조절기 ‘네스트’를 시작으로 사물인터넷 플랫폼 ‘올조인’ 등 글로벌 스마트홈 플랫폼 업체들과 협력을 본격화한다. 네스트는 사용자의 외출·귀가에 맞춰 자동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가정용 지능형 냉난방 온도 조절기 업체로 올해 초 구글이 인수했다.

LG전자는 네스트와 연동한 ‘홈챗’ 서비스를 연내 미국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향후 ‘올씬 얼라이언스’의 ‘올조인’과 연동하면 LG 스마트 가전들의 작동 상태를 LG 웹OS 스마트+ TV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할 방침이다.

LG전자 HA사업본부장 조성진 사장은 “글로벌 스마트홈 플랫폼 업체와 협력을 통해 스마트 가전에 새로운 가치를 더할 것”이라며 “고객 삶이 더 쉽고 편안해 질 수 있는 진정한 스마트 기술을 지속 선보이겠다”라고 말했다.

베를린(독일)=서지희 기자 jhsseo@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트럼프 틱톡, 개설 사흘 만에 팔로워 500만…35만 바이든 캠프 압도
  • 현충일 ‘초여름 더위’ 지속…전국 곳곳 소나기 소식
  • 김호중 후폭풍 일파만파…홍지윤→손호준, 소속사와 줄줄이 계약 해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14:2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90,000
    • +1.99%
    • 이더리움
    • 5,243,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666,500
    • +3.74%
    • 리플
    • 726
    • +0.28%
    • 솔라나
    • 238,500
    • +3.11%
    • 에이다
    • 637
    • -0.31%
    • 이오스
    • 1,109
    • +0.54%
    • 트론
    • 158
    • +0.64%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150
    • +2.41%
    • 체인링크
    • 24,710
    • +0.73%
    • 샌드박스
    • 637
    • +1.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