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사 코드읽기] (6)조선의 왕비, 그들은 누구인가?

입력 2014-09-03 17: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5천년 한국여성사, 어떻게 읽을 것인가?

텔레비전에서 방영하는 사극의 꽃은 왕비이다. 화려한 옷차림은 물론이고, 궁중 내 여성들 간의 암투와 권력 투쟁은 극을 더 재미있게 만든다. 그런데 대체로 왕비는 항상 인자하고 후덕하며 우아한 모습으로 표현되는 반면, 후궁은 표독하고, 남을 모해하고, 권력 지향적인 인물로 나타난다. 왜 그럴까, 부덕(婦德)을 강조하는 유교적 이념 때문이다.

궁궐에는 왕비 외에도 대왕대비, 왕대비, 대비, 세자빈, 후궁, 공주, 옹주 등 많은 왕실여성들이 살았다. 왕비는 왕의 처이며, 국모로 불렸다. 남편이 죽고 아들이 왕이 되면 왕의 어머니로서 대비가 되고 할머니가 되면 대왕대비가 되었다. 빈(嬪)은 세자의 적실인 왕세자빈과 왕의 최고 후궁에 사용한다. 조선시대 왕비나 대비, 후궁은 모두 임금 하나만 바라보며 사는 구중궁궐의 외로운 여인들이다. 그들의 삶은 어땠을까? 왕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조선왕비, 25개 가문에서 배출

조선의 왕비는 어느 가문 출신인가? 조선 시대 왕비는 폐위된 왕인 연산군, 광해군과 사후 추존된 왕인 덕종, 진종의 왕비와 폐비까지 모두 합하면 47명이었다. 왕비는 모두 25개나 되는 많은 가문에서 배출되었다. 청주 한씨가 5명의 왕비를 배출했고, 여흥 민씨와 파평 윤씨가 각각 4명을, 그 외 안동 김씨, 청송 심씨, 경주 김씨가 각각 3명의 왕비를 배출했다.

이런 가문의 여성들은 조선에서 가장 큰 행사인 국왕 또는 왕세자와의 혼례를 통해 왕비가 되었다. 왕실의 혼례를 가례(嘉禮)라 하였다. 왕비는 왕실 어른들이 직접 보고 선발하는 간택과정을 거쳐, 혼례의 본행사인 여섯 가지 예식 즉 육례(납채, 납징, 고기, 책비, 친영, 동뢰)를 통해 왕비가 되었다. 세자빈은 후에 남편이 왕이 되면 왕비로 책봉 받았다.

▲경복궁에 있는 왕비의 처소인 교태전(왼쪽)과 교태전 뒤뜰 아미산에 남아있는 화려한 굴뚝
왕의 여자들의 목표는 왕자를 생산하는 것이다. 대통 승계가 중요했던 만큼 왕비의 임신과 출산은 왕실의 최대 경사였다. 왕비가 임신 7개월이 되면 궁궐 안에 산실청(産室廳)이 설치되어 임신과 출산을 관리하였다. 출산 이후 왕비 역할은 그리 크지 않고, 유모와 보모가 육아를 거의 전담하였다. 왕비의 왕자 생산에 대한 국가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조선을 직접 통치했던 27명의 왕 중 적장자(嫡長子)가 왕위에 오른 왕은 문종, 단종, 연산군, 인종, 현종, 숙종, 순종 등 7명에 불과했다. 장자 아니더라도 적자가 왕위에 오른 경우가 10명이며, 선조, 인조, 고종은 방계로서 왕위에 올랐고, 정조는 아버지가 후궁 소생이었고, 영조를 비롯한 후궁 소생도 많았다.

편하지만 않은 왕비의 삶, 수렴청정으로 권력을 잡기도

조선의 왕비는 간택에서부터 잠자는 곳, 옷 입고, 먹는 것 등등 모든 부분에서 궁궐의 엄격한 예의와 법도를 따라야 했다. 궁중 생활은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인내가 필요했다. 외척을 척결한다고 하여 친정 집안이 화를 당하기도 하였고,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불행한 삶을 보내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로 성종대 폐비 윤씨와 숙종 때의 인현왕후 민비와 희빈 장씨를 들 수 있다.

왕비 중 여러 어려움을 견디고, 대비가 되어 수렴청정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선왕이 죽은 후, 즉위하는 왕이 어린 경우 왕의 할머니나 어머니가 왕실의 최고 어른으로서 수렴청정을 하였다. 이때 (대왕)대비는 왕을 지명하고, 국왕과 함께 국가의 일을 처리했다. 왕은 상소나 장계를 직접 보고 받지만 (대왕)대비에게 알리고 논의했다. 역모나 군사적인 일, 그리고 국정 운영의 중요한 일을 (대왕)대비가 담당했다. 조선에서 최초로 수렴청정을 한 것은 성종 대였다. 성종은 예종이 즉위 14개월 만에 승하하자 정희왕후(세조비)의 지명으로 13세에 왕이 되었다. 이후 6명의 대비가 7차례 수렴청정을 통해 어린 왕을 보좌하며 조선을 이끌어 갔다.

제7강=조선 왕실 여성이야기(한희숙, 숙명여대), 자료제공=(사)역사․여성․미래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406,000
    • -0.18%
    • 이더리움
    • 5,003,000
    • +2.56%
    • 비트코인 캐시
    • 543,500
    • +0.18%
    • 리플
    • 696
    • +1.31%
    • 솔라나
    • 190,500
    • -1.19%
    • 에이다
    • 545
    • +2.06%
    • 이오스
    • 805
    • +4.27%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2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750
    • +2.57%
    • 체인링크
    • 20,260
    • +4.81%
    • 샌드박스
    • 458
    • +5.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