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 탄' 하버드대 김건호 씨, 美 여행안내서 쓴다

입력 2014-05-07 10: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장애학생으로 버스 이용 직접 대륙 횡단 나서

한인 장애 학생이 미주 대륙을 횡단할 수 있는 휠체어 여행 가이드북 집필에 나섰다.

주인공은 하버드대 1학년에 재학하는 김건호 씨. 그는 오는 7월 11일부터 8월 28일까지 태평양 연안의 샌프란시스코를 LA, 라스베이거스 등을 거쳐 뉴욕, 뉴헤이븐, 프로비던스, 보스턴까지 휠체어를 타고 누빌 계획이다.

버스를 이용해 대륙을 횡단하지만 장애인 여행 코스는 직접 휠체어를 타고 답사해 주요 관광지, 호텔, 레스토랑, 대학 등을 소개한다.

김씨의 여행에는 하버드대에 다니는 브래드 류·김유명 씨와 영국의 바스대에 재학하는 신시아 정씨 등 3명의 친구가 동행한다. 이들은 교대로 운전하면서 사진과 동영상을 찍고, 관련 글을 바로 써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 올릴 예정이다.

SNS에 게시한 글들은 나중에 편집해 책으로 출간하겠다는 계획. 이미 '레츠 고'(Let's Go)라는 여행 가이드북 출판사에서 출간을 돕기로 약속했다.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섭외한 김 씨는 4일 보스턴코리아와의 인터뷰에서 "4년 전에 스키 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돼 휠체어 신세를 지고 있다"며 "휠체어 접근성이 비교적 좋다는 미국도 아직은 휠체어로 다니기 어려운 현실이라는 사실을 알고 휠체어 여행 가이드북을 만들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그의 결심은 한때 반대에 부닥치기도 했다. 주변 친구와 부모가 위험하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던 것.

그러나 2주 만에 '트레볼타'(Trevolta)라는 기금모금 웹사이트(크라우드 펀딩)에 6000달러 정도의 후원금이 쌓이는 걸 확인하고 지금은 주위 사람들도 열렬한 응원자가 됐다고 한다.

김씨는 "50일 넘게 20개 도시를 탐방하려면 여전히 기금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많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미국 여행을 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그의 휠체어 미주 횡단은 웹사이트(wheelproject2014. wordpress.com)와 비디오 자료(vimeo.com/91388395)에 소개돼 있다.

이들이 제작할 여행 가이드북은 세계 최초의 장애인을 위한 미국 여행 코스 안내 및 가이드 라인이 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황재균·장성우 아닌 박상원이 사과…KT 감독 "고참으로서 역할 잘한 것"
  •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은 초등 3학년생 '금쪽이'…엄마 반응은?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9,000,000
    • +0.78%
    • 이더리움
    • 5,326,000
    • +1.31%
    • 비트코인 캐시
    • 694,000
    • +4.36%
    • 리플
    • 730
    • -0.14%
    • 솔라나
    • 239,900
    • +0.25%
    • 에이다
    • 639
    • +0.16%
    • 이오스
    • 1,103
    • -1.25%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650
    • +1.66%
    • 체인링크
    • 24,220
    • -0.78%
    • 샌드박스
    • 6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