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투자 “유동성 악화 현대그룹, 큰 고비는 넘겼다”

입력 2014-03-25 15: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현대그룹이 한 차례 큰 고비는 넘겼다는 주장이 나왔다.

강성부 신한금융투자 채권분석팀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 18일 회사채 신속인수제를 위한 차환심사위원회에서 주력 계열사인 현대상선에 대해 1400억원의 회사채에 차환을 결정했다”며 “올해 만기가 되는 8200억원의 회사채와 기업어음(CP) 가운데 5900억원이 3~5월 사이에 집중돼 있어 이번 차심위가 중요했는데, 이번 결정을 통해 유동성 위기의 큰 고비는 넘은 것 같다”고 말했다.

강 팀장은 현대상선의 법정관리 우려감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이번 차심위 결정과 함께 현대엘리베이터·현대상선·현대로지스틱스 간의 지배구조를 감안할 때 현대상선만의 법정관리는 힘들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현대상선의 법정관리를 가정할 경우 대주주로서 장부가 6500억원으로 잡혀있는 현대상선 지분가치 하락에 따른 손실인식뿐만 아니라 최대 4000억원의 파생상품손실도 가능해 현대엘리베이터도 자본잠식으로 빠질 가능성이 열려 있다”며 “현대엘리베이터의 자기자본(지난해 9월 별도 기준)은 7200억원에 불과해 현대상선의 법정관리는 곧 현대엘리베이터의 법정관리로 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대로지스틱스는 현대엘리베이터 지분 21.3%를 보유한 대주주로 효과가 간접적”이라며 “현대로지스틱스의 자기자본은 1862억원(연결 기준)에 불과한데 현대엘리베이터 지분가치를 3205억원으로 인식하고 있어 현대엘리베이터가 문제될 경우 함께 법정관리를 선언할 가능성이 높은 지배구조”라고 덧붙였다.

강 팀장은 현대그룹의 회사와 계열의 현금흐름을 추정해본 결과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것은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내년에 만기가 되는 차입금과 선박금융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문제는 자구계획의 추진성과로 현대그룹이 자산 매각을 실천해야 한다”며 “현대로지스틱스의 매각과 항만터미널, 벌크선 등의 매각 여부 등에 따라 현대그룹의 생존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이어 “내년에 만기가 도래하는 차입금과 선박금융의 경우 결국 정책당국의 협조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현대그룹은 한발 빠른 구조조정으로 정책당국에게 명분을 제공해줘야 하고, 지금의 구조조정 의지라면 무난히 넘길 수 있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강 팀장은 해운업의 대표 운임지수인 BDI는 600pt에서 1만4000pt까지 가격지수 가운데 가장 부침이 심한 산업적 특성이 있는 만큼 선가와 운임이 바닥을 확인한 상황에서 선박금융에 대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황재균·장성우 아닌 박상원이 사과…KT 감독 "고참으로서 역할 잘한 것"
  •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은 초등 3학년생 '금쪽이'…엄마 반응은?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995,000
    • +0.81%
    • 이더리움
    • 5,326,000
    • +1.33%
    • 비트코인 캐시
    • 692,000
    • +4.22%
    • 리플
    • 730
    • -0.14%
    • 솔라나
    • 240,000
    • +0.17%
    • 에이다
    • 640
    • +0.63%
    • 이오스
    • 0
    • -0.99%
    • 트론
    • 160
    • +0.63%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0
    • +1.61%
    • 체인링크
    • 0
    • -0.9%
    • 샌드박스
    • 0
    • +1.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