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4대 지표, 침체 탈출 청신호

입력 2014-03-10 10: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거래량·매매가·경매낙찰가율·미분양 모두 호조…‘임대차 방안’ 연착륙이 관건

부동산 시장에 봄바람이 불고 있다. 주택 거래량, 경매 낙찰가율, 미분양 해소, 대출 증가 등 주요 지표도 일제히 상승세다. 다만 최근 정부가 '주택임대차시장 선진화방안'을 내놓은 이후 시장이 위축될 우려가 커지고 있어 주택시장 훈풍이 지속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7083건으로 2006년 실거래가 신고 적용 이후 2월 거래량으로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937건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며, 지난 1월 4870건에 비해서도 41% 늘어난 것이다.

매매거래가 늘면서 아파트 가격도 상승하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2월 말 기준 6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월의 경우 전월 대비 0.20%, 전년 동월 대비 1.18% 상승했다. KB국민은행의 전국주택가격동향 조사 자료를 보면 2월 서울 아파트값은 0.13% 오르며 전월(0.03%)의 네 배가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송파구 잠실동 A공인 관계자는 "작년 이맘 때와 비교하면 확실히 문의, 거래가 많아지고 가격도 올랐다"면서 "특히 최근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한달새 호가가 5000만~6000만원 가량 상승했다. 회복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분양도 감소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5만8576가구로 전달(6만1091가구)보다 2515가구 감소했다. 이는 2006년 5월(5만8505가구) 이후 7년8개월 만에 최저치다. 특히 악성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주택은 전월 대비 1185가구 감소한 2만566가구로 9개월 연속 감소했다.

주택매수 수요가 늘면서 대출창구도 붐비고 있다. 특히 '공유형 모기지'와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등 정책 모기지의 대출 신청이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2월 9일 본사업에 돌입한 공유형 모기지 대출 실적이 올해 1월 말까지 2106명, 2738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출을 신청한 사람은 2748명이었지만 심사를 거쳐 2106명만 돈을 빌려주는 것으로 결정됐다. 하루 평균 55건의 대출이 이뤄진 셈이다. 각종 정책 모기지를 통합한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은 1월 한 달간 3957억원의 대출 실적을 올렸다. 전년 동월 1476억원과 비교해 2.6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조금이라도 싼 가격에 주택을 매입하려는 수요자들로 경매시장도 북적이고 있다. 부동산태인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달 이후 전국 법원에서 경매 낙찰된 아파트 1422가구에 모두 1만1387명이 입찰했다. 아파트 1가구당 평균 8.01명이 입찰표를 써낸 셈이다. 2월 서울·수도권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84%로 2010년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1월 82.78%를 기록, 2011년 4월(83.07%) 이후 최고치로 치솟은 이후 또 다시 기록을 갈아치운 것이다.

집값 바로미터로 불리는 강남 재건축의 호가가 수천만원씩 뛰는 등 서울 주택시장은 강남·강북 모두 상승 기류를 탔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3월 1~7일) 서울 매매시장은 0.12% 상승하며 강세를 유지했다. 특히 서울 재건축 아파트가 0.57%나 오르며 오름세를 이끌었다. 서울 강북지역도 전셋값 급등 영향으로 전세→매매 전환이 늘고, 매물 부족으로 인해 집값이 뛰는 추세다.

다만 정부의 '주택임대차시장 선진화 방안'에 따라 시장의 혼란이 일고 있는 만큼 최근의 활황 추세가 계속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집주인들 사이에서 임대주택 소유에 따른 세금폭탄을 맞느니 집을 팔겠다는 움직임이 가시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집값이 하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부랴부랴 꺼내든 보완대책에서도 ‘연간 임대소득이 2000만원 이하’인 영세 임대인만 2년간 비과세를 받을 수 있도록 해 논란을 잠재우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서울 강남구 B공인 관계자는 "지난달 임대차 선진화 방안이 나왔고 일주일 만에 보완대책이 나왔지만 집주인들의 심기는 여전히 편치 않다"며 "발표 방향대로 임대차 정책이 시행되면 임대시장의 주축인 소형주택 위주로 집값이 떨어지거나, 집주인들이 내게 되는 세금만큼 임대료가 급등하는 등 큰 혼란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강영관, 이상혁기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36,000
    • +0.29%
    • 이더리움
    • 5,297,000
    • -0.38%
    • 비트코인 캐시
    • 642,000
    • -0.47%
    • 리플
    • 720
    • -0.96%
    • 솔라나
    • 229,000
    • -2.14%
    • 에이다
    • 623
    • -0.64%
    • 이오스
    • 1,127
    • -0.27%
    • 트론
    • 161
    • +2.55%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950
    • -0.29%
    • 체인링크
    • 25,630
    • -1.27%
    • 샌드박스
    • 621
    • +2.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