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치머니를 좇아라] 저금리 기반 주택 투자 올 ‘최악의 실수’

입력 2013-07-24 10: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金 매입·실적전망 실패 뒤이어

올해 투자자들이 저지른 실수 중 최악은 저금리에 기반한 주택 투자였다고 투자 전문매체 데일리파이낸스가 최근 분석했다.

데일리파이낸스는 지난 상반기는 한치 앞을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며 이같이 밝히고 투자자들이 저지른 ‘최악의 실수 톱5’를 선정했다.

지난해 가장 인기가 높은 30년 물 모기지 금리는 3.31%로 바닥을 쳤다. 투자자들은 모기지 금리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3.5% 내외일 것으로 예측하고 주택에 베팅했다. 그러나 30년 물 모기지금리는 최근 4%대 중후반으로 뛰었다. 데일리파이낸스는 모기지 금리가 급등한 탓에 주택에 베팅한 투자자들이 약 15% 정도 높은 이자를 내게 됐다고 설명했다.

금에 대한 투자도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양적완화 정책과 더불어 각국의 중앙은행이 금융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자 투자자들 사이에선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투자자들은 인플레 헤지수단으로 금에 투자했으나 올해 상반기 금값은 23% 떨어졌다.

실적이 악화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는 언제나 결과가 좋지 않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전자제품양판업체 베스트바이는 지난해 매출과 이익 감소로 시가총액이 반토막 났다. 그러나 허버트 졸리 신임 최고경영자(CEO) 부임으로 올해 들어 주가가 3배 가까이 올랐다. 소셜커머스업체 그루폰도 지난해 주가가 76% 급락했으나 새 CEO의 부임으로 주가가 2배 가까이 올랐다. 전문가들은 지난 실적이 앞으로의 실적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라고 조언했다.

뮤추얼 펀드와 상장지수펀드(ETF)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지난 1월 이들 펀드에 유입된 금액은 395억 달러에 달했다. 사상 최고치였다. 일부 투자가들은 이 수요를 역으로 생각해 매도에 나섰다. 그러나 뮤추얼 펀드는 현재까지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역설적이지만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투자가 아닌 주택마련을 포기하지는 않아야 한다고 데일리파이낸스는 지적했다. 모기지 금리 상승을 우려해 주택 마련 자체를 포기한 것은 바람직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모기지 금리 상승은 궁극적으로 집값 안정을 이끌었고 올해 주요 20개 도시의 주택가격이 급등이 아닌 점진적인 상승세를 기록해 투자 시기를 결정하는 데 어렵지 않았다고 데일리파이낸스는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성심당 대전역점’이 없어진다고?…빵 사던 환승객들 ‘절망’ [해시태그]
  • 경찰, 김호중 방문한 고급 유흥주점 새벽 압수수색
  • 다꾸? 이젠 백꾸·신꾸까지…유행 넘어선 '꾸밈의 미학' [솔드아웃]
  • "깜빡했어요" 안 통한다…20일부터 병원·약국 갈 땐 '이것' 꼭 챙겨야 [이슈크래커]
  • 부동산PF 구조조정 시계 빨라진다…신평사 3사 "정부 대책 정상화 기여"
  • "전쟁 터진 수준" 1도 오를 때마다 GDP 12% 증발
  • 유니클로 가방은 어떻게 ‘밀레니얼 버킨백’으로 급부상했나
  • AI 챗봇과 연애한다...“가끔 인공지능이란 사실도 잊어”
  • 오늘의 상승종목

  • 05.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887,000
    • +1.52%
    • 이더리움
    • 4,298,000
    • +2.65%
    • 비트코인 캐시
    • 671,000
    • +3.47%
    • 리플
    • 726
    • +0.69%
    • 솔라나
    • 239,300
    • +2.84%
    • 에이다
    • 668
    • +1.37%
    • 이오스
    • 1,136
    • +0.71%
    • 트론
    • 173
    • +0.58%
    • 스텔라루멘
    • 151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1,750
    • +3.21%
    • 체인링크
    • 22,540
    • +0.09%
    • 샌드박스
    • 621
    • +0.98%
* 24시간 변동률 기준